국립무형유산원,‘2017 무형유산 대학연계 교육‘운영

무형유산 대학연계교육은 국립무형유산원이 대학생들에게 전통문화를 학습하고 무형유산을 친근하게 접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13년 처음 개설한 과정이다. 올해 교육에서는 무형문화재 예능종목인 농악과 탈춤 분야에서 각 2종목씩을 선정해 같은 분야지만 서로 다른 지역에서 전승돼온 무형유산 종목을 비교 체험하고, 이론과 현장교육의 연계를 위해 해당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답사를 함께 진행한다.
먼저 ▲ 오는 17일부터 21일에는 영남농악에 속하는 진주삼천포농악(국가무형문화재 제11-1호)과 영동농악을 대표하는 강릉농악(국가무형문화재 제11-4호)이 품고 있는 화합의 세계를 다룬다. 또한, ▲ 30일부터 8월 4일에는 낙동강 서쪽지방의 탈춤인 고성오광대(국가무형문화재 제7호)와 황해도·함경도 지역에서 전승돼온 탈춤인 봉산탈춤(국가무형문화재 제17호)의 예술성과 가치를 배운다.
무형유산 대학연계 교육은 무형유산에 관심과 애정을 가진 대학생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국립무형유산원 누리집(www.nihc.go.kr, 공연/교육/전시/행사☞교육예약☞전승자·사회교육예약)에서 양식을 내려 받아 전자우편(hyounaa@korea.kr)으로 신청한다. 농악은 오는 17일까지, 탈춤은 21일까지 신청받으며 종목당 각 30명을 선착순으로 접수한다.
이번 교육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은 무형유산 전승자(이수자)들의 오랜 경험과 해당 종목의 예술적 가치가 담긴 강의를 통해, 무형유산의 가치와 깊은 멋을 경험하고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은 앞으로도 청년세대가 무형문화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무형유산의 보존과 창조적 계승에 앞장서는 인재로 거듭날 수 있도록 무형유산 현장 학습기회를 늘리는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