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고갈 사태가 현실화되면서 국내에서도 에너지 소비가 많은 여름·겨울철마다 ‘블랙아웃(대규모 정전사태)’ 우려가 제기되는 등 에너지의 원활한 공급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음을 실감케 한다. 이러한 현상으로 친환경 녹색에너지 개발이 미래의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어 각 국에서는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최대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전시회인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가 열리며 꾸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태양광 전문기업이자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해 녹색성장을 선도하는 포브에너지의 기술력을 담당하고 있는 이도식 실무대표를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업이 각광받으며 태양광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에 많은 업체들이 태양광발전 보급에 힘써 해외기업들과 겨루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그 성능을 인정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포브에너지 이도식 대표는 전기계통의 학과를 졸업해 일찍부터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많아 초기 대체에너지가 각광받던 시절부터 시민환경 공익기업에 기술을 지원하기도 했다. 오랜 기간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몰두해온 이 대표는 “일반적으로 태양광발전 시스템과 태양열 온수기술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태양열은 열을 이용한 온수 혹은 난방으로 사용가능한 것이며, 태양광은 빛을 전기로 변환하여 전기에너지로 사용하는 것이다”고 말하며 한편태양광발전 기술은 솔라셀을 이용해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것으로 실리콘 표면에서 전기적 특성의 차이인 광전효과를 이용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최상의 발전효율을 높이기위해서는 묘듈과 인버트의 궁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한다. 즉,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최상의 발전효율을 위해서는 설치장소와 주변 환경의 특성에 따라 모듈배치와 모듈조합이 중요하며 이에 맞는 최적의 인버터를 선정하여 최적의 효율을 낼 수 있도록 모듈과 인버터를 궁합을 맞추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이 대표는 “모듈이나 인버터의 경우 설비 설치 후 하자보수가 용이하고 필요시 부분 하자보수도 진행이 가능하지만 구조물의 경우 사람의 골격과 같아 골격에 따라 사람의 형태와 골밀도가 달라지듯이 구조물의 설치장소와 모듈사양마다 규격이 달라 주문제작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치 후 하자보수가 어려워 100년이 지나도 튼튼한 구조물을 설계해야한다”고 강조한다. 이에 포브에너지는 남다른 기술력과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다년간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환경적인 문제는 물론 자원 고갈 문제 해결에 앞장서고자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폐기물 고형연료(Refuse Derived Fuel:RDF)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RDF는 도시의 생활 쓰레기에서 불연물인 철 성분의 캔과 유리 성분의 유리병 등 불에 타지 않는 폐기물을 제외한 연소물질을 일정한 크기로 파쇄 후 건조하여 고압압축 시켜 고체연료화 한 것으로 에너지가 석탄에 견줄만하다고 하여 일명 ‘도시에서 캐온 석탄’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RDF는 무연탄의 평균 발열량과 비슷한 4,000〜5,000kcal/kg의 발열량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폐플라스틱으로 만든 RPF(Refuse Plastic Fuel)의 경우 6,000〜8,000kcal/kgdml 높은 발열량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는 이 대표는 폐기물로부터 얻어지는 연료이기 때문에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저렴한 연료일 뿐 아니라 자원 순환형 사회를 촉진시켜 폐기물 처리시설 설치에 따른 예산 절감효과와 더불어 환경오염 감소, 이산화탄소 저감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같이 현재 포브에너지는 태양광을 비롯해 풍력, RDF 연료전지 에너지 개발을 중점적으로 하고 있으며 차후 수소 연료전지 개발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전한다.

지난해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가 처음 시행되며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거래를 전력거래 시장과 별개로 에너지관리공단의 신재생에너지센터가 운영해왔으나 올해부터는 전력시장에서 전력거래를 담당하는 전력거래소가 REC 거래시장 개설·운영, 공급의무자 의무이행비용 산정·정산 업무를 수행할 것이라고 한다. 그 밖에 REC 발급·관리·폐기, 공급의무량 산정 및 의무이행실적 점검, 태양광 판매사업자 선정업무는 종전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 대표는 이러한 RPS 제도로 인해 쉽사리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대중화의 어려움을 겪고 있어 앞으로 정책적인 면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기업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마땅하지만 이윤추구를 우선시하기보다는 국가의 녹색성장을 위해 푸른 지구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보호하는데 최선의 역량을 쏟을 것이다”라고 전하는 이 대표는 회사 상호도 포브에너지(Fdr Our Bule Earth) 푸른 지구를 위한 에너지라는 뜻으로 정하고 오랜 세월 에너지 분야에 몰두한 만큼 물질적인 욕심보다는 기술자의 마음으로 임해 일에 대한 성취욕을 우선으로 고객들에게 신뢰와 믿음으로 다가갈 것이라고 강조한다.
또한 현재 신재생에너지 분야 사업이 정책적인 문제에 따라서 전망의 확연한 차이를 보여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으나 국내 뿐 아니라 해외 시장을 개척해 더 많은 발전을 이룩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해외 시장에서의 국내업체간의 경쟁심화로 인해 기술력이 아닌 가격으로만 경쟁하려는 몇몇 업체의 비신사적인 태도로 인해 타격을 입기도 해 저가경쟁이 아닌 진정 기술력으로 승부하여 에너지 자립국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