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자율통합, 인구 100만 명품 통합시 가능성 무궁무진
상태바
최초 자율통합, 인구 100만 명품 통합시 가능성 무궁무진
  • 박재형 기자
  • 승인 2013.03.07 10: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의 재정지원 및 통합시 규모에 맞게 광역 행정체제로의 개편이 시급하다”

   
 
■ 청원·청주 통합시 출범에 대한 청주시민들의 입장과 기대는 어떤가.
지난 1994년과 2005년 청원군민의 반대로 통합이 무산됐으며, 이후 2009년 청원군의회의 반대로 역시 통합에 대한 기대가 좌절됐다. 이처럼 3번의 좌절을 겪은 청주시민의 통합에 대한 열망과 기대는 크다. 통합 청주시가 출범하면 경제적으로 자급자족이 가능한 광역 지자체로 성장할 것이며, 문화ㆍ체육 인프라 구축, 경제성장과 그에 따른 일자리 창출, 광역 도시로서의 자긍심 등 다양한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상생 통합에 있어 청주시민들을 위한 핵심과제는 무엇인가.
장기적으로 청주와 청원이 상생하기 위한 중요 과제는 첫째, 구도심 공동화에 대한 대책 마련이다. 향후 도시개발과 관련해 구도시 재생 사업에 대한 청사진을 준비해야 한다. 둘째는 대도시에 걸맞은 혁신적인 도로·교통 시스템 구축이다. 통합 청주시는 서울시 면적의 1.6배에 이른다. 지역이 넓어진 만큼 편리한 생활권 확보를 위해 도로·교통망 시스템 구축이 꼭 필요하다. 셋째는 청원 농촌지역과 외곽지에 대한 관심과 투자에 대한 청주 내 소시민에 대한 역차별을 해소하는 문제이다.

■ 지역민의 대표로 의장님께서 통합추진위와 18대 정부에 건의하고자 하는 사항은 무엇인가.
통합 청주시의 출범을 행정구역 중심의 물리적인 통합만으로 보지 말아 달라. 양측의 사람과 문화가 진심으로 하나가 되는 문화적인 통합을 위해 노력해 주길 바란다. 또한, 양 시·군이 합의한 39개 사업 75개 세부사항에 대한 상생발전방안에 대하여도 이행의무를 부여하여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한 기틀이 마련하길 바란다.
무엇보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충북공약 첫 번째로 “청원·청주통합을 적극지원 하겠다”고 약속한 만큼 관련법과 대선 공약에 따라 전폭적인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따라야 할 것이며, 통합시의 규모에 맞게 광역 또는 준광역 행정체제로의 개편이 시급하다.

■ 균형 있는 통합을 위해 청주시의회의 앞으로 행보에 대해 소개해 달라.
의회의 가장 큰 역할은 민의의 대변이고, 다음으로 시민을 위한 참된 시정을 위한 견제와 보완인 만큼, 지역주민과 함께 호흡하면서 통합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주민의 불편, 부당, 요구사항에 귀 기울이고 청주시민들이 통합에 있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다. 또한 상생발전방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업무연찬을 하고, 추진 단계별 이행상황을 확인하며, 추진과정에서 나타나는 부당, 불공정한 통합에 대해서는 시민을 대표해 분명한 입장을 표명할 것이다.

■ 끝으로 지역민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 무엇인가.
최근 행정수도가 충청권으로 이전되고, 고속철도 오송역, 오송·오창 바이오산업단지, 청주·청원 통합 등의 굵직한 이슈로 범국민의 이목이 청주로 쏠리고 있다. 청주시 승격 66년만인 내년 7월에 통합청주시가 출범되면 경제, 산업, 문화 등 사회 전반의 각 분야에서 긍정적인 시너지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청주시의회는 항상 열려 있다. 통합에 있어 어떤 의견이든 가까운 지역 의원들과 대화하고 소통하여 청주시 제2의 도약과 발전을 준비하는 통합 청주시가 관용과 이해 그리고 우리 모두의 희망 속에 출범하길 바란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