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재난 최초목격자의 참여 이끌기 위해 머리 맞댄다
상태바
서울시, 재난 최초목격자의 참여 이끌기 위해 머리 맞댄다
  • 이지원 기자
  • 승인 2017.06.07 09: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민과 함께 공동으로 정책을 결정하고, 의견수렴 위해 7일 ‘시민 대토론회’ 개최
▲ 재난초기대응 시민 대토론회
[시사매거진]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에서는 재난 초기 최초목격자의 올바른 대응을 이끌어 생명을 구하고 최소한의 피해로 막기 위해 여러 정책을 펼쳐 나가고 있지만, 시민과의 협치가 없다면 이러한 정책은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택용 소방시설(단독경보형감지기, 소화기)’ 보급, ‘소방안전교육’, ‘시민안전파수꾼’ 양성 등을 추진하고 있다.

즉, 안전은 원론과 정책도 중요하나, 시민들의 자발적인 실천과 참여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시 소방재난본부에서는 시민과 함께 공동으로 정책을 결정하고,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7일 14시부터 ‘재난초기대응 시민 대토론회’를 가진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와 함께 주최하며, 시민 100명, 시민안전파수꾼 200명 등 320여 명이 참석해 기조발제, 사례발표, 패널토론, 열린토론 순으로 진행된다.

기조발제는 ‘재난대응! 왜 협치인가?(유창복 전 서울협치추진단장)’, ‘지역사회의 재난대응 커뮤니티 활성화 모색(국민안전처 이영팔 예방계획계장)’, ‘서울특별시 시민안전파수꾼 조례안 발제(서울시의회 김동율 의원)’의 내용으로 진행되며, 사례는 방송인 및 국제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는 로버트 할리가 미국의 자율 커뮤니티를 소개한다.

기조발제와 사례발표가 끝나고 나면 ‘황금시간 확보를 위한 시민참여와 역할 정립’이라는 주제로 권순경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을 비롯해 서울시의회 유광상 의원, 서울연구원 원종석 박사, 서울사이버대학교 채정민 교수 등이 패널토론을,

이후 일반시민과 시민안전파수꾼은 앞서 전문가 등이 얘기했던 것을 토대로 재난초기대응에서 시민참여의 지속가능성 대책 및 나아가야 할 방향 등에 대해 원탁토론을 펼친다.

토론은 1개조에 10명식 20개조를 구성해 진행하며, 시민안전파수꾼은 퍼실리데이터 역할을 맡는다.

또한 원탁토론에서는 지난 4월 10일 서울시의회 김동율 의원이 발의한 ‘서울특별시 시민안전파수꾼 양성 및 운영에 관한 조례안’에 대한 시민의견을 청취하고, 시민이 제안하는 의견을 수렴·논의하는 시간도 가질 예정이다.

조례안은 재난 및 사고 등의 발생은 날로 증가하고 있는데 반해 행정력은 크게 못 미치고 있는 상황으로, 시민 스스로가 자신을 보호하고 이웃을 도울 수 있는 시민안전파수꾼을 양성·운영해 안전한 서울시를 구축하고자 발의됐다.

이를 통해 향후 지역주민 스스로가 재난 시 황금시간 내에 초기 대응을 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고, 지역 재난대응 네트워크 활성화 등의 총체적 관리가 지역주민이 주체가 돼 자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안전에 대한 패러다임을 변경해 나갈 계획이라고 시 관계자는 밝혔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번 대토론회를 통해 관 중심의 안전에서 탈피하고 시민이 주도하는 안전문화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시민안전파수꾼 조례안이 제정된다면 안전은 더 튼튼한 뿌리를 내릴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고 말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