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녹색성장교육의 내면화와 생활화 추구
‘바르며 부지런하고 알차게’라는 교훈 아래 학교의 모든 구성원들이 성실하고 적극적인 자세로 21세기 지식기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바른 인성 함양과 능력 및 적성 신장, 창의적인 인간 육성을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는 연암중학교는 환경보전시범학교로서 녹색성장교육의 내면화와 생활화를 위한 체험·실천 중심의 환경시범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2011년부터 환경부 요청으로 “도시하천(동천강) 탐사를 통한 저탄소 녹색성장 모범학교 구현”이라는 주제로 2013년 2월까지 환경시범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연암중은 교사와 학생, 학부모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환경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환경보전과 녹색성장에 대한 연관성 및 자연친화적 생활 실천의지가 미약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강 교장은 “이는 자연친화적 생활이 불편하다는 인식에 기인한 것으로서, 녹색성장의 의미와 실천방법에 대한 홍보, 친환경적 생활태도의 인식 변화가 시급하다”고 평했다. 또한 “지역의 도시하천인 동천강의 오염도가 매우 심각하다는 인식이 지배적으로 나타나 동천강 탐사활동을 펼친 후 동천강을 지킬 방법을 모색하고 여론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학교 환경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

연암중은 분리수거가 편리한 환경 친화적 학급환경 조성, 환경 친화적 청소 도구 봉걸레와 탈수기 배치, 교내 환경교육을 위한 게시물 구성, 화분 가꾸기 동아리를 통한 초록 환경 조성, 학교 홈페이지를 활용한 환경교육 시범학교 홍보, 녹색환경 실천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교사·학부모 연수 강화, 지역 환경 단체와의 협력체계 구축 등 환경문제 제고를 위한 교육기반 조성 및 도시하천 탐사 등 현장 체험 중심의 환경실천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 중에 있다.
“일회성 아닌 지속적인 실천 프로그램 운영하겠다”
녹색환경 실천을 위한 다양한 환경동아리를 조직하여 활동을 펼치고 있는 연암중은 녹색탐사반, 생태체험반, 그린나래 등 환경동아리 14개를 조직하여 교사와 학생이 함께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 중 녹색탐사반이 주축이 되어 펼치고 있는 도시하천 동천강 탐사활동은 동천강의 수질과 주변 식물, 서식 어류에 대한 탐사로서, 울산녹색에너지촉진시민포럼 (황인석 사무국장)과 함께 봄, 여름, 가을, 겨울별로 연4회에 걸쳐 동천강의 수질 오염도를 측정하여 추이를 분석하고 오염 원인을 조사하며, 동천강 주변의 식물 조사 및 표본 만들기, 동천강의 상류, 중류, 하류별로 서식하는 어류를 탐사하는 활동이다. 강 교장은 “동천강의 수질은 학교 과학실에서 교사와 학생이 직접 오염도(DO, COD, PO, NO, NH, PH 등)를 측정하고 분석하며, 탐사 후 수질과 어류, 식물 별로 보고서를 작성하고 있다”며 “탐사활동을 통해 동천강 살리기 환경정화 활동 및 캠페인으로 환경보전 홍보활동에도 주력하고 그 결과를 학교 환경신문 연빛(연4회 발행)과 지역매체를 이용하여 지역민에게 홍보함으로써 동천강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 여론화 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연암생태체험반을 주축으로 시행되는 환경 관련 체험 및 견학 프로그램은 태화강 생태체험, 녹색에너지체험학교 참가, 북구청 재활용장 체험, 울산 자원센터 방문, 현대자동차 친환경 차량 견학, 울산 북구 관내 노거수(老巨樹) 탐방, 용연동 하수 종말 처리장 견학 등 이론 보다는 실천하고 체험하는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에게 더욱 와 닿는 교육을 펼치고 있다. 이밖에도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한 생활 속 환경 실천 체험 프로그램으로 EM(유용한 미생물) 만들기, 쓰레기 제로에 도전하기, EM 흙 공 만들기, 전기에너지 다이어트, 베란다 텃밭 만들기, EM을 활용한 섬유유연제 만들기 등 녹색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총 9개 주제의 체험프로그램을 선정, 주 1회 1시간 운영을 통해 학생들이 직접 체험해 본 후 일상생활에 적용해봄으로써 녹색생활 실천을 생활화 하고 있고, 학교 내부적으로도 전 교사와 교직원이 동참하고 있는 급식잔반제로 운동을 실시하고 있다.
강 교장은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꾸준하게 실천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환경교육을 내실화하고 활성화 시키겠다”고 밝혀 연암중이 환경시범학교 운영을 통해 녹색성장을 위한 학교의 역할과 비전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일반화하여 학교 환경교육이 나아가야할 모델을 제시하고 있음을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