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과 도전정신을 갖춘 글로벌 경영리더 양성
상태바
혁신과 도전정신을 갖춘 글로벌 경영리더 양성
  • 송재호 이사
  • 승인 2012.06.08 16: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영 이론을 바탕으로 한 실용중심의 교과과정 운영

중소기업을 기반으로 한 국가경쟁력 확보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숭실대학교는 벤처기업과 중소기업이 경제성장의 새로운 엔진으로 떠오르는 세계적인 추세에 맞춰 벤처 중소기업을 대학에서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이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고자 지난 1995년 벤처중소기업학과를 개설했다. 국내에서는 처음 개설된 학과로 경영의 이론적 측면보다는 응용과 적용을 위주로 현장중심, 실용중심의 교과과정을 운영, 아시아를 선도하는 글로벌 실무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현장중심, 실용중심의 교과과정 운영

벤처중소기업학과(www.ensb.or.kr/최문수 학과장)는 글로벌 리더십과 Entrepreneurship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목적으로 경영의 이론을 바탕으로 응용과 적용에 초점을 맞춘 실용중심의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경영학·회계학의 일반적인 이론을 토대로 중소벤처기업경영에 필요한 차별적인 경영이론과 경영현장에서 필요한 실무지식을 학습해 중소기업의 경영환경 및 기술 환경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창업경영자가 되어 기업을 경영하고자 하는 비전을 가진 학생들을 위해 경영의 이론적 측면보다는 응용과 적용을 위주로 현장중심, 실용중심의 교과과정을 운영, 글로벌 시장체험, 우수 벤처·중소기업 인턴십 프로그램, 비전설정 CEO 및 선배 멘토링, 공모전 준비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창업에 관련된 전문과목과 일반기업론 과정에서 중소기업론을 특화해서 배운다. 회계학, 통계학, 경영학 등의 기초 과목은 물론 세부적으로 창업에 필요한 Entrepreneurship, 창업재무 및 투자회수, 사회적기업, 벤처캐피탈과 사모 및 헤지펀드 관리운용, 창업아이템개발, 중소기업지원 및 지원정책, 중소벤처경영론, 모의창업, 마케팅 사례연구, 중소기업사례분석, 글로벌창업, 서비스창업 및 실습 등 다양하고 세분화 되어 있어 체계적으로 지도하고 있다.

차별화된 실무능력과 창의성 갖춘 경영리더 양성

벤처중소기업학과는 ‘실무적 인재’ 양성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매년 시행하고 있다. 지난 2010년 봄학기에는 ‘도전적인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해 20명의 학생을 선발해 해외체험의 기회를 제공했다. 특히 매년 학과생들을 대상으로 사업계획서 경진대회를 실시해 최우수로 선정된 팀에게는 상금 이외에 학과기금으로 조성한 사업자금을 2년간 대여해주고 있다. 이 대회는 창업을 통해 새로운 고용창출을 이뤄내고 청년 CEO를 만들어내는 숭실대학교만의 자랑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창의적인 실무형 경영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직접 아이템 개발을 하고 판매 경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과 창업경진대회 등도 벤처중소기업학과의 자랑거리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경험으로 학생들은 다른 학교 및 학과와는 차별화된 실무능력과 창의성을 갖춘 경영리더로 양성된다.
또한 2011년부터 벤처 중소기업 임직원을 위한 맞춤형 학사과정(계약학과)을 개설해 벤처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임직원을 대상으로 학사학위를 주는 과정을 시행하고 있다. 이 학위과정에는 현재 벤처 중소기업을 창업한 창업자들과 임직원들이 창업을 하는 과정에서 미루어둔 학사학위 취득과 기업을 경영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배우고 있다.

최문수 학과장은 “벤처중소기업학과는 기존의 경영학이 전통적으로 관심을 두어온 관리보다는 새로운 사업 기회의 창출, 틈새시장의 개척 상품의 전격적인 차별화, 창업기업의 고속성장 등 기업가적 경영에 초점을 맞춘 교육을 통해 글로벌 리더십과 Entrepreneurship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라며 “벤처 중소기업의 교육에 있어 명실상부한 한국최고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고 자부했다. 그리고 “기업을 창업하는 과정에서 미루어 둔 학사학위 취득이나 기업경영에 필요한 지식을 배우고자 하는 벤처 중소기업의 임직원들은 본 학과의 계약학과 과정에 많은 지원을 바란다”고 언급했다.
현재 졸업생들은 일반기업체를 비롯해 금융권, 언론사, 유통분야 및 정당, 호텔, 광고, 기획 대행업체 등 사회 각 분야로 진출하고 있으며 대학교 및 각종 연구소에서 연구활동을 수행하는 등 벤처창업은 물론 중소기업의 전문인력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최문수 학과장은 앞으로 “학교의 비전 ‘글로벌 기업 취업률 Top 10 Asian School’로 도약하기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