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수분 담근먹이' 전용 젖산균 첨가제 나왔다
상태바
'저 수분 담근먹이' 전용 젖산균 첨가제 나왔다
  • 이지원 기자
  • 승인 2017.05.01 15: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젖산 비율 2배 높이고 품질은 1등급으로 올려
▲ '저 수분 담근먹이' 전용 젖산균 첨가제 나왔다

[시사매거진]농촌진흥청은 저 수분 담근먹이인 '헤일리지(Haylage)' 전용 젖산균 첨가제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잦은 비로 인해 어려움을 겪던 헤일리지(저 수분 담근먹이) 제조 활성화와 국산 풀사료 신뢰도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헤일리지(저 수분 담근먹이)는 수분함량이 40%∼60%로, 수분함량 60%∼70%인 사일리지(담근먹이)와 수분 20% 이하인 건초의 중간 형태로 분류한다.

일반 사일리지(담근먹이)보다 유통과 보관이 쉬워 축산농가와 섬유질배합사료(TMR) 업체의 선호도가 높다.

농촌진흥청은 곰팡이 억제 효과가 뛰어나면서 젖산 생성 효과는 우수한 우량 균주를 선발해 헤일리지 전용 첨가제를 개발했다.

실험 결과, 첨가제를 넣은 헤일리지(저 수분 담근먹이)는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산성도(pH1))는 0.6 이상 낮고 유기산 중 젖산 비율은 2배 이상 높일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품질 등급도 '보통(3등급)'에서 '매우 우수(1등급)'로 2단계 높일 수 있고, 부패와 관련된 효모 등의 발생도 70% 이상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젖산은 젖산균이 식물체 내 수용성 탄수화물을 이용해 생성한 유기산의 하나로, 젖산 함량이 높을수록 좋은 품질의 헤일리지가 된다.

실제, 젖산 함량은 높으면서 산성도(pH)와 초산, 낙산 함량은 낮을수록 발효품질등급이 높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기술을 특허등록하고 풀사료 첨가제 전문회사에 이전했다.

농촌진흥청 초지사료과 최기춘 농업연구사는 "국내 풀사료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일반 사일리지 외에도 건초와 헤일리지의 생산 확대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또한 "사일리지 전용 첨가제만 있던 국내 시장에 이번 첨가제를 개발, 보급함으로써 질 좋은 헤일리지 생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