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산업 견인할 창조적 제품디자이너 양성
토론과 프레젠테이션 수업, 소비자가 원하는 디자인 창조 능력 길러
![]() | ||
최근 디자인분야 중에서도 제품디자인의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제품디자인은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더욱더 사용자가 중심이 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급속히 재편되고 있다. 이에 한성대학교 제품디자인전공은 상상력, 논리력, 분석력, 감성을 기반으로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하여 인간의 삶에 있어 질적인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소비자 라이프스타일과 트렌드를 기반으로 한 하이테크와 감성이 통합되는 다양한 제품디자인을 개발 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높은 취업률, 각종 국내외 공모전 수상
21세기형 창조적 디자이너를 양성하고 있는 한성대 제품디자인전공은 타 대학에 비해 비교적 짧은 15년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각종 국내외 공모전에서 수상하며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IF나 Red Dot 같은 국제권위의 공모전 입상과 더불어 졸업생들이 삼성, LG를 비롯한 대기업과 유망 중소기업에 다수 취업, 해마다 높은 취업률을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자체의 디자인 부서, 대학원 진학, 유학 등의 진출, 최근에는 스스로 디자인 전문회사를 창업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이처럼 한성대 제품디자인전공은 놀라운 속도로 발전을 거듭하면서 입시생들에게는 선망의 학과로 떠올라 지난해 수시입학시험에서는 56:1의 경이적인 경쟁률을 보이기도 했다.
한성대 제품디자인전공이 이 같은 성과를 올리는 것은 제품디자인 분야의 탄력적이고 융합적인 교육을 통해 디지털 테크놀로지 기반의 사용자 중심적 통합 디자인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는 인재양성을 목표로 교육하기 때문이다.
한성대 제품디자인전공은 영국에서 유학한 서울대출신의 전종찬 교수가 1997년 부임하면서 전공이 만들어 졌고 이어 스웨덴에서 유학한 KAIST 출신의 김홍배 교수, 미국에서 유학한 서울대 출신의 문찬 교수가 합류하면서 열정과 실력을 겸비한 최고의 교수진을 갖추게 되었다. 영국이나 스웨덴과 같은 유럽의 세련되고 감성적인 디자인과 미국의 합리적 디자인을 아우르는 소위 디자인 선진국에서의 유학을 토대로 학생들에게 수준 높은 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며, 여기에 대기업에서 풍부한 경력을 지닌 겸임교수를 비롯한 강사진들은 전문적인 지식과 함께 젊고 도전적이며 활기찬 학과 분위기를 만들어 내고 있다.
전종찬 교수는 “한성대 제품디자인전공은 점차 글로벌화 되는 디자인트렌드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질 높은 교육과 실무적인 디자인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최적의 인적 인프라를 갖추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체계적인 커리큘럼으로 종합적인 안목 가진 인재 육성 
한성대 제품디자인전공은 가전제품, 정보기기, 생활용품, 가구, 문구, 팬시제품, 캐릭터 상품, 운송기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기획과 마케팅, 디자인 비즈니스, 디자인 컨설팅 분야 등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학제적 교육을 제공한다. 무엇보다 기본적으로 컴퓨터를 통한 표현능력을 키우고 심층적인 리서치를 통해 사용자를 둘러싼 환경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분석을 수반하는 심도 있는 리서치로 정확한 디자인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는 종합적인 안목을 가진 디자인 컨설턴트를 육성하고 있다.
제품디자인전공의 커리큘럼은 기초조형능력을 충실히 배양할 수 있는 기초입체디자인수업으로부터 컴퓨터를 활용한 3D표현능력, 창의력을 키워주는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를 비롯, 인간과 사물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다루는 인터랙션디자인, 생활가전디자인, 가구디자인, 운송수단디자인, 공공디자인 등으로 짜여 져 있으며 4학년에는 개개인의 관심분야를 주제로 졸업프로젝트를 완성한다. 졸업프로젝트는 판넬과 목업을 보여주는 일반적인 전시회 성격을 벗어나 프로젝트의 기획에서 완료 단계까지 제품디자인의 모든 프로세스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ppt자료로 정리해야 하며, 이를 프레젠테이션형식으로 발표해야 하기 때문에 탁월한 발표능력 또한 요구된다. 이는 단순한 아이디어스케치에서 렌더링, 목업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졸업프로젝트와는 확실히 차별화 되고 있다.
전종찬 교수는 “우리 학과는 소수 정예의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어 다른 대학과 달리 제품의 프레젠테이션 발표 능력이 아주 우수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라며 “졸업생들은 4년 내내 토론과 프레젠테이션이 강조되는 수업을 받기 때문에 문제해결에 대한 충실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분석, 종합하는 포괄적 디자인프로세스를 컨트롤할 수 있는 디자인 컨설턴트 개념으로 교육되어지기 때문에 기업체에서 상당한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