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환경과 건강한 삶, 간호사와 함께
실무 중심의 차별화된 간호사업과 시민 건강증진에 기여
새롭게 출발하는 서울특별시간호사회
지난 64년 동안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의 기본권을 존중하는 간호이념을 지키며 전국 17지회의 롤 모델로 성장한 서울특별시간호사회에 제 34대 회장으로 김소선 회장이 취임해 주목 받고 있다. 신임 김소선 회장은 Johns Hopkins Hospital의 국제 간호경험과 국내 클리닉에서 갖춘 임상 베이스를 바탕으로 현재 연세대 간호대학 학장으로 후학양성에 공헌하고 있는 인물로써 간호 현장을 가장 잘 이해하는 회장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서울특별시간호사회는 간호사에 대한 서울특별시 시민의 요구를 기반으로 하여, 간호의 선진화 및 경쟁력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회원의 권익 및 복지에 관한 사업으로 간호사 상 정립을 위한 선배회원과의 간담회를 개최하고, 복지기금 운영, 복지향상을 휘한 중소병원 간호학술대회와 국제간호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한다. 또한 지역사회 사업의 일환으로 서울시 여성단체와 연계한 ‘새 질서 새 생활’ 운동과 간호봉사단을 운영 중이다.
김소선 회장 취임 후 서울특별시간호사회는 지난 5월19일 제39회 ‘국제간호사의 날’기념 축제를 개최했다. 특히 올해는 나이팅게일 서거 100주년이 되는 해로 나이팅게일의 정신을 기리는 기념식과 ‘아름다운 만남-결혼’이라는 주제로 행사가 마련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서울특별시간호사회 덕분에 위상이 강화되고 있는 간호사들. 그들이 행복한 미소를 지을 날이 머지않아 보인다.
▲ 제 34대 서울특별시간호사회 회장으로 취임하셨는데 소감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서울특별시간호사회는 대한간호협회 산하 가장 큰 지회로 회원 간호사 수준도 전국 최상위이기에 저희 지회가 전국 지회 롤 모델이자 서울시민 건강지킴이로써 책임과 의무를 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다년간의 임상 베이스와 현장감을 살려 회원이 만족하는 간호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어떠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신지. ▲ OECD 가입국 중 우리나라 간호사 수는 인구대비 최하위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간호사 부족문제는 의료서비스 질 저하로 연결되는 중대한 문제이니 만큼 인력난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해야 할 텐데요. ▲ 중소병원의 근무실태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마련해 놓으셨는지. ▲ 근무실태와 함께 거론되는 고질적인 인력난에 대한 대처 방안은 무엇입니까. ▲ 서울시 시민 보건 증진을 위한 서울특별시간호사회의 사업내용 소개 부탁드립니다. ▲ 서울특별시간호사회 회장이자, 연세대 간호대학 학장으로 간호인력 양성을 위해 힘쓰고 계십니다. 교육자로써 학생들에게 강조하시는 말씀이 있으시다면. ▲ 마지막으로 못 다한 말씀 있으시면 해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