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발전과 생명윤리가 함께 가는 길을 논의하다.

‘비동결난자의 연구목적 사용 한계와 필요성’, ‘유전자가위기술을 적용한 유전자치료 연구’ 발제 및 토론

2016-11-03     신혜영 기자
[시사매거진]보건복지부는 비동결난자 연구목적 사용 등 생명윤리정책 이슈 공론화 및 의견수렴을 위한 ‘생명윤리정책 토론회’가 오는 4일(금), 오후 1시30분 조선호텔에서 개최된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질병 극복을 위한 생명과학 발전과 생명 존중의 윤리적 측면이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주최로 개최 된다. 과학계ㆍ의료계·법학계ㆍ종교계·시민단체 등 각계 각층 100여명이 모여 주제발표 및 토론을 실시하게 된다.

토론회는 난치병 치료제 개발 등 질병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 및 유전자 치료 연구 관련해 과학적·윤리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2가지 주제에 대해 논의하게 된다.

첫 번째 주제는「비동결난자의 연구목적 사용 한계와 필요성」으로 주제 발표자인 이동율교수(차의과대학)는 체세포복제배아 줄기세포 연구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비동결난자 사용 필요성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동결난자의 경우 동결·해동과정에서 난자의 질 저하로 성공적인 연구결과 도출이 어렵고, 동결난자와 비동결난자의 연구 이용에는 윤리적인 차이가 없다는 견해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잔여난자를 사용하도록 제한하는데 비해, 해외는 대부분 동결·비동결 난자 구분하지 않고 연구에 사용하며, 영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연구목적의 난자 기증이 허용되고 있다고 한다.

두 번째는「유전자가위기술을 적용한 유전자치료 연구」로 발표자인 김진수교수(서울대학교)는 유전자가위기술을 적용한 다양한 난치성 질병치료 연구를 위해서는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발표할 예정이다.

미국, EU 등은 연구대상 질병 제한이 없고, FDA에서 임상과정상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고 있으므로 한국도 선진국과 같이 다양한 질병에 대해 연구가 가능하도록 생명윤리법상의 대상 질병 등 제한 조건의 완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이와 관련해 과학계ㆍ의료계·법학계ㆍ종교계·시민단체 등 전문가들이 참석해 과학적·윤리적 관점에서 열띤 논의를 하게 된다.

이번 토론회는 과학적·윤리적으로 논쟁이 있는 주제에 대해 각계 각층의 의견을 수렴한 것으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 된다.

소중한 의견들은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과학의 발전과 생명 보호의 윤리적 가치가 균형을 이루면서 시대변화의 흐름에 맞게 제도적으로 담겨져 국민의 건강한 삶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서는 각 주제별로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포럼 등의 체계를 구성해 지속적으로 토론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