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면전 선포’
‘퇴로는 없다'
세종시 수정에 대해 연일 강도높은 비판을 가하고 있는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표정에 결기가 서려 있다.
정부의 세종시 수정 드라이브를 총력 저지하는 전면전에 들어간 모습이다. "원안이 배제된 수정안에 반대", "약속을 지키는게 제왕적이라면 그 얘기를 100번도 듣겠다", "국민의 신뢰를 잃은 것에 책임지실 문제"로 수위를 높여가는 발언은 `원칙'을 던져놓고 침묵으로 되돌아가던 예전의 모습이 아니다.
친박(친 박근혜) 의원들은 유력한 차기 대권주자인 그가 세종시 문제에 정치적 승부를 건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결코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18일 친박모임인 `선진사회연구포럼' 운영위원 오찬에서도 "일부 부처가 옮겨가는 세종시 절충안이 나와도 박 전 대표가 받아들일 가능성은 전무하다"는 공감이 이뤄졌다고 한다.
정가에서는 박 전 대표가 왜 스스로 출구를 차단했을까에 해석이 분분하다. 향후 대선행보를 앞두고 지나친 정치적 무리수가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그러나 긴 호흡의 정치를 하는 박 전 대표의 `세종시 해법'을 이해하려면 오는 2012년 차기 대선전에서 펼쳐질 현실을 미리 그려봐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친박의 한 중진은 "세종시를 수정하면 국민의 마음에는 `한나라당은 수틀리면 뒤집는 정당'의 이미지가 남고 이는 향후 총선과 대선에서 한나라당 후보에게 부메랑이 돼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시 수정 홍보의 장이 될수 있는 한나라당 국정보고대회에 친박계 시도당위원장들이 반발하며 대회를 연기하는 등 행동에 나선 것도 그런 차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친박 내에서 수정론, 절충론, 본회의 무기명자유투표론 등 이견이 나올 때마다 박 전 대표가 직접 반박하는 것도 6월 지방선거까지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 `세종대전'에서 내부 전열을 정비하기 위해서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