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장터 지문인식 전자입찰 본격 시행
입찰제어시스템도 구축…투명·공정한 입찰질서 확립
2010-01-05 신혜영 기자
조달청은 오는 4월부터 PC 전자입찰에 지문인식시스템을 시행해 불법전자입찰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고, 입찰참가자격을 관리하여 경쟁 입찰에 공정성을 확립한다고 밝혔다.
지문인식시스템은 지난해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외부 전문기관으로부터 적합성을 인증 받고 시범운영 과정을 거쳐 안정성을 검증받은 제도로 입찰자의 신원확인을 강화해 인증서 대여를 통한 불법 전자입찰 관행을 원천봉쇄하게 된다.
입찰대리인은 조달청 각 민원실에서 오는 2월부터 3월까지 보안토큰에 지문을 등록해야만 4월부터 시행되는 전자입찰에 참여할 수 있다. 또 1인 1사 등록제를 정착시키고 임직원 여부를 4대 보험 등 객관적인 자료에 의해 확인해 부정 대리입찰을 철저히 방지하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입찰제어시스템을 구축해 입찰참가자격이 없는 부적격업체가 공공조달시장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국세청, 관세청 등과 입찰참가자격관련 업체정보를 공유하고 행안부 등 관련기관과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만드는 한편 각 입찰업체의 자기회사 입찰정보 확인 등록 유효기간도 3년에서 1년으로 단축할 방침이다.
물품·용역 적격심사의 전자화와 계약실적증명 조회 및 발급서비스를 온라인에서 가능케하고 적격심사시스템도 온라인화해 적격심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현재 10일에서 하루로 단축된다.
2009년 RFID기반 물품관리시스템 확산사업이 완료됨에 따라 1월 이후 국가물품에는 의무적으로 전자태그가 부착된다. 이로써 전 국가기관 보유 물품이 RFID로 관리된다.
한편, 나라장터의 운영성과를 전체 공공부문으로 확산하기 위해 전자조달 운영기관과의 네트워크 강화 등 전자조달서비스의 고도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기획재정부와의 협조로 자체조달시스템 운영기관들과 협의체(가칭 전자조달연구단)를 구성해 나라장터의 운영성과를 공유하고 공공조달시스템 운영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조달청은 앞으로 각종 고시 등에 혼재되어 있는 전자조달 규정을 체계적으로 법제화해 전자조달 관련 이해당사자간의 권리의무관계를 명확히 하고 각종 분쟁조정을 위한 법적기반을 만들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