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 노조, 연이은 중대 재해발생시 책임자 처벌 촉구

▲ 6일 오후 현대중공업 노동조합이 잇따른 중대재해에 대한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며 고용노동부 울산지청 앞에서 항의집회을 열고 있다.
현대중공업 노동조합(위원장 백형록)은 6일 오후 고용노동부 울산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잇따른 중대재해에 대한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현대중공업에서는 올해 들어 9명의 원·하청 근로자가 작업 또는 이동중 사망했다.
지난 1일에는 조선사업부 협력업체 근로자 박모(34)씨가 작업 도중 크레인에서 추락한 선박 부품에 맞아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숨졌다.
지난 4월에는 일주일 동안 중대재해 3건이 연이어 발생하자 회사가 1972년 창사 이래 처음으로 하루 동안 작업을 전면 중단하고 집중 안전점검을 실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사망사고가 이어지자 노조가 중대재해 근절을 촉구하고 나선 것이다.
이날 노조는 "회사는 경영 위기의 책임을 희망퇴직과 사업부 분사 등으로 노동자들에게 전가한 데 이어 잇따른 중대재해의 책임 역시 노동자 탓으로 돌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연이은 중대재해에 대한 책임은 사업주와 관리감독 주체인 고용노동부 울산지청이 져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조는 "구조조정으로 인한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 안전이 뒷전으로 밀려났다"며 "고용노동부는 현대중공업 내 모든 사업장에 작업중지 명령을 내리고 회사는 제대로 된 안전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1시간 동안의 항의집회를 마무리한 노조는 울산지청을 방문해 항의서한을 전달했다.
현대중 노조는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에서 회사가 추진한 구조조정 등에 반발하며 사측과 갈등을 빚고 있다.
한편 현대차 노조는 이날 각 조 4시간씩 이틀 연속 부분파업을 벌이고 있다. 올해 들어 16번째 파업이다.
노사는 지난달 24일 임금 5만 8000원 인상, 성과급 및 격려금 350%+330만 원 지급 등을 골자로 한 잠정합의안을 마련했으나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약 80%의 반대로 부결, 다시 교섭하고 있다.
현대차 노사는 오는 7일 윤갑한 사장과 박유기 노조 지부장 등 교섭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올해 임금협상 24차 교섭을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