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기업, 對韓 투자 확대로 韓FTA 네트워크를 활용하라
중국의 저성장 ‘신창타이’ 시대, 對中 의존도 높은 대만과 한국 양국 모두 수출다변화 차원 제3국으로 눈 돌릴 시점에 공감
2016-09-01 신현희 부장
또한 양국의 미래 먹거리 발굴 차원, 바이오제약 및 소프트웨어 등 신성장동력산업 양국간 성공사례를 공유하고 협력필요성을 논의했다.
한-대만 경협위 최광주 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글로벌 경제성장을 견인하던 중국이 신창타이 시대로 진입하며, 중국 경제의존도가 높은 한국과 대만은 대중국 수출 감소로 커타란 타격을 입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新시장 개척과 더불어 바이오제약, 소프트웨어 등의 신성장동력 산업에서 양국 간 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주타이페이한국대표부 조백상 대표는 대만 신정부의 ‘신남향정책’에 주목해야 하며, 특히 대만의 신남향정책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동남아, 서남아, 호주·뉴질랜드 지역에 한·대만 양국 기업들이 공동진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은 ASEAN, 인도, 호주·뉴질랜드와 이미 FTA를 체결했고, 동남아 및 인도 등에 이미 많은 제조업체들이 진출한 상황이다. 여기에 대만 기업들의 자본과 기술, 화교 네트워크를 합친다면 한국 기업들의 경험과 노하우, FTA를 활용한 제도적 이점 등과 함께 충분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덧붙어 세계 유수의 대만기업이 한국에 적극적인 투자를 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전경련 박찬호 전무는 양국간 새로운 협력방안에 대한 코멘트를 통해, “양국 간 교역규모가 286억불(2015)로 각각 5~7위의 교역파트너임에도 불구하고 투자규모는 사실상 매우 작은 편”이라며, “대만기업들이 한국 FTA 네트워크를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한국시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글로벌 보호주의에 대한 국제사회에서의 공동대응방안도 논의됐다. 최근 브렉시트를 시작으로 미국, EU 선진국은 물론 중국, 인도 등 거대신흥국까지 전세계적으로 보호주의가 강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개방경제이자 대외의존적 경제구조를 가진 한국과 대만은 공동으로 이러한 글로벌 흐름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전경련 박찬호 전무는 양국 경제계가 ABAC(=APEC 기업인자문위원회) 등 양국이 함께 참여하는 다자회의 또는 각자가 운영하고 있는 국제 양자채널 등을 통해서 글로벌 보호주의 움직임에 대한 일관된 경계의 목소리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필요하다면 양국 민간경제계가 함께 관련 보고서를 발간하고 공동건의를 하는 것도 효과적일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날 회의에는 한국측 최광주 한-대만 경협위 위원장, 조백상 주타이페이한국대표부 대표, 송병락 자유와창의교육원 원장, 이동훈 동아에스티 부사장, 김영표 말랑스튜디오 대표 등이, 대만 측에서는 량궈신 대만-한 경협위 위원장, 스딩 주한대만대표부 대표, 쑤다웨이 경제부 해외무역국 부국장, 허밍헝 유안타증권 회장, 시그프리드 대만제약발전협회 국제협력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한편 합동회의에 앞서 전날 8월 31일에 한국 경제사절단은 대만 국가개발위원회의 카오쉬엔퀘이 차관을 만나 대만 신정부의 정책방향 및 한국과의 협력확대 방안에 대해 면담을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