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제도 개혁 T/F」제1차 Kick-off 회의 개최
우리나라 회계투명성 문제를 원점 재검토하겠습니다
2016-08-17 신혜영 기자
TF는 상장협과 코스닥협(기업), 한국공인회계사회(감사인), 금융위·금감원(감독당국), 회계·법률 전문가 등으로 구성됐으며 또한, 다양한 개혁 방안을 심도깊게 모색하기 위해 한국회계학회와 공동으로 논의를 진행했다.
TF 참석자들은 분식회계·부실감사 방지를 위해 필요한 개선과제와 추진방향 등을 자유롭게 논의했다.
회계·법률 전문가들은 핵심감사제(KAM) 도입, 상장법인 감사인 등록제 등 다양한 해외사례를 감안한 혁신적 개혁안 마련 필요하다고 했다.
기업계에서는 회계 인력 전문성 및 경영진 인식제고 등 교육강화, 내부감사 및 회계관리 강화 등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도 과도한 감사부담 증가에 대해는 합리적 조정을 제안했고, 한국공인회계사협회는 감사인 선임제도 개선, 소신있는 감사환경 조성, 감사보고서 내용 충실화, 감사보수 현실화 방안 등에 대한 검토 필요하다고 제기했다.
금융감독원은 분식회계 제재실효성 제고, 탄력적 회계감리 실시, 회계법인 감독강화, 감독인력 확충 등 적극적 감독환경 조성 방안 검토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한국회계학회는 TF 참석자들이 제기한 개선과제를 연구주제에 적극 반영해 근본적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 했다.
학회는 금번 연구주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큰 만큼 주요대학 경영·회계학 교수 12명이 대거 참여했고, 기업분과·감사분과·감독분과로 구분해 분야별 체계적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임을 언급했다.
향후 가급적 신속한 대안 마련을 위해, 每격주 단위로 TF를 운영할 계획이며, “TF ↔ 회계학회”의 유기적 협력과 피드백을 통해 ‘실천적 개혁안’을 마련하고(10월), 공청회·심포지엄 등으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후, 금융발전심의위, 금융개혁추진위원회 등을 통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금번 TF를 통해 현행 회계·감사제도의 문제점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우리나라 회계투명성을 근본적으로 제고할 수 있는 「2016 회계제도 개혁안」을 마련해 금년 하반기 중 발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