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토종붕어 치어 150만 마리 방류
내수면 생태계 회복을 위해 어업인들 발 벗고 나서
2016-08-02 이지원 기자
시는 치어 20만 마리를 매입해 방류했고, 어업인들이 직접 키운 치어 130만 마리를 방류했다.
붕어는 어업인은 물론 낚시인에게도 인기가 많은 물고기이며, 수중 생태계의 중간 허리역할을 담당하는 지표생물로 존재가치가 높다.
이에 어업인들은 칠금동과 수안보면에 치어 양식장을 조성해 130만 마리를 생산하고, 충주호와 5개 저수지에 방류하게 됐다.
붕어는 충주댐 담수를 시작한 1986년부터 1990년까지 약 5년간은 어망을 들 수 없을 만큼 자원이 풍부해 물속에 다시 쏟아 부을 정도로 천대를 받는 물고기였고, 산지 가격이 1kg에 500원 이하에 거래됐다고 한다.
그 무렵에는 충주댐 붕어회와 붕어찜이 충주의 대표 음식이라 할 정도로 인기를 얻었고, 붕어회를 먹기 위해 전국에서 충주를 찾는 이들이 많아 붕어회로 부자가 된 횟집도 많았다.
90년대 중반부터 충주댐에서 붕어 자원이 급격히 감소돼 희귀어종으로 바뀌었고, 30년이 지난 지금은 옛 추억 속에만 향수로 남아있다.
붕어 자원의 감소는 산란기 댐 수위변동이 심해 산란해 놓은 알이 말라 죽고 블루길, 배스 등 외래어종의 확산과 지속적인 포획작업으로 인한 결과이다.
토종붕어는 잡식성으로 수서곤충이나 물벼룩, 연한 식물 등을 먹고 자라지만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육식성 블루길, 배스에게 알과 치어들이 잡아먹혀 지속적인 자원조성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서요안 친환경축수산팀장은 “치어 방류는 내수면 어족자원 증식은 물론 수중 생태계 균형유지에 기여해 어업인 소득증대와 많은 낚시인들이 충주를 찾아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