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운 날씨, 이물 발생에 주의하세요
식품 소비단계에서 벌레, 곰팡이 이물 발생 예방요령 안내
2016-07-13 이지원 기자
최근 5년간(2011~2015년) 총 이물 신고건수 32,902건 중 이물 종류별로는 벌레와 곰팡이 이물 신고건수가 각각 12,343건(37.5%), 3,182건(9.7%)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들은 7월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벌레 이물은 8월이 1,435건(11.6%), 9월이 1,518건(12.3%), 10월이 1,652건(13.4%), 11월이 1,400건(11.3%)으로 최근 5년간 신고된 총 12,343건 중 8~11월 신고건이 6,005건(48.7%)을 차지했다.
곰팡이 이물은 7월이 363건(11.4%), 8월이 374건(11.8%), 9월이 365건(11.5%), 10월이 367건(11.5%)으로 최근 5년간 신고된 총 3,182건 중 7~10월 신고건이 1,469건(46.2%)을 차지했다.
소비자가 식품을 구입해 섭취하기까지 벌레나 곰팡이 이물로부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먼저, 벌레 이물은 면류(2,791건, 22.6%), 커피(1,893건, 15.3%), 시리얼류(1,118건, 9.1%), 과자류(1,062건, 8.6%) 등에서 많이 발견됐다.
둘째, 벌레 이물 중에서도 화랑곡나방(일명 쌀벌레)은 주로 어두운 벽면이나 골판지 박스 틈새 등에 많이 서식하며, 유충(애벌레)은 포장지를 뚫고 제품 내로 침입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보관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셋째, 식품을 가급적 어둡고 습한 장소에 보관하지 말고,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은 즉시 폐기한다.
넷째, 시리얼 등 여러 번 나누어 먹는 제품은 단단히 밀봉하거나 밀폐 용기에 담아 바닥에서 떨어진 곳에 보관한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거래나 택배 등을 통해 배달된 제품은 받는 즉시 포장박스를 제거한다.
또한, 곰팡이 이물은 음료류(706건, 22.2%), 빵 또는 떡류(535건, 16.8%), 면류(282건, 8.9%), 즉석조리식품(275건, 8.6%) 등에서 많이 발견됐다.
곰팡이는 주로 유통 중 포장이 파손되거나 냉동·냉장제품을 개봉한 상태로 실온에서 오랫동안 보관할 경우 발생할 수 있다.
곰팡이가 많이 발생하는 음료류나 빵류는 개봉 후 바로 섭취하며, 떡류나 면류, 즉석밥 등의 식품을 구입할 때는 조리 전 포장지가 찢어지거나 구멍이 나지 않았는지 잘 살피고, 개봉 후 남은 제품은 공기에 접촉되지 않도록 밀봉시켜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한다.
식약처는 소비자가 이물을 발견해 부정·불량식품 신고센터(1399)에 신고할 경우 정확한 조사를 위해 신고 제품과 해당 이물을 반드시 조사 공무원에게 인계해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벌레와 곰팡이 이물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식품제조업체에 포장방법 개선 등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