빼앗긴 우리의 땅 ‘간도’ 100년의 역사를 찾아
일제 한국 영토 ‘간도’ 청나라에 넘긴지 100년, 간도 찾아야 한다는 움직임 일어
9월4일은 간도를 빼앗긴 지 꼭 100년이 된다. 1905년 을사늑약으로 우리나라의 외교권을 강탈한 일제는 남만주 철도부설권과 탄광채굴권을 얻는 대가로 청에 간도(間島) 땅을 넘겼다. 그 후 1909년 9월4일 청·일 간도협약을 통해 조선과 청의 국경을 두만강과 압록강 경계선으로 획정 지었다. 결국 을사조약은 일제가 강압적으로 맺은 대표적인 국제조약으로 간도협약은 당연히 무효이며 국제적으로도 확인된 상황이다.
일제, 한국 영토 간도 청나라에 넘긴 ‘간도협약’ 체결
청나라는 19세기 말기부터 간도가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여 군대까지 투입하고 지방관까지 두었으나, 한국도 그에 강력히 맞서 영토권을 주장하였으므로 간도영유권 문제는 한·청간의 오랜 계쟁문제(係爭問題)였다. 일제는 1905년(광무 9)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한 뒤 청나라와 간도문제에 관한 교섭을 벌여 오다가 남만주철도 부설권과 푸순(撫順)탄광 채굴권을 얻는 대가로 한국 영토인 간도를 청나라에 넘겨주는 협약을 체결하였다.
이 협약은 1909년 9월 일제가 청나라로부터 남만주철도 부설권을 보장받은 대가로 청나라와 맺은 협약으로, 백두산정계비에 대한 청나라측 해석을 그대로 인정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총 전문 7조로 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① 한·청 양국의 국경은 도문강(圖們江:토문강)으로서 경계를 이루되, 일본 정부는 간도를 청나라의 영토로 인정하는 동시에 청나라는 도문강 이북의 간지(墾地)를 한국민의 잡거(雜居)구역으로 인정하며 ② 잡거구역 내에 거주하는 한국민은 청나라의 법률에 복종하고, 생명·재산의 보호와 납세, 기타 일체의 행정상의 처우는 청국민과 같은 대우를 받는다. ③ 청나라는 간도 내에 외국인의 거주 또는 무역지 4개처를 개방하며 ④ 장래 지린(吉林)·창춘(長春) 철도를 옌지(延吉) 남쪽까지 연장하여 한국의 회령(會寧) 철도와 연결한다는 것 등이었다.
이것으로 일본은 만주 침략을 위한 기지를 마련하는 동시에, 남만주에서의 이권을 장악하고, 조선통감부 임시간도파출소를 폐쇄하는 대신 일본총영사관을 두어 한국인의 민족적 항쟁운동을 방해하는 공작을 하게 되었다.
간도(間島)는 백두산 북쪽의 만주 지역 일대로, 서간도(압록강, 송화강의 상류지방인 백두산 일대)와 동간도(북간도-훈춘, 왕청, 연길, 활룡현 등 포함 지역)로 구분된다. 간도는 원래 읍루와 옥저의 땅이었다가 고구려가 이 지방으로 뻗어나면서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고, 고구려가 망한 뒤에는 발해의 영토가 되었다.
1862년 미국 16대 대통령 링컨 ‘노예해방 예비선언’
미국 제16대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Abraham Lincoln/1809~1865)이 앤티담 전투에서 북부군이 승기를 잡자 이튿날 1862년 9월22일 ‘노예해방 예비선언’을 발표했다. 이것은 연방에서 탈퇴한 남부의 여러 주가 연방에 복귀하지 않으면 노예해방을 선언하겠다는 경고였으며, 자치주가 이에 응하지 않자, 링컨은 1863년 1월1일 흑인노예의 해방을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이로써 약 100만 명의 흑인 노예가 자유를 얻었다. 링컨은 이 선언을 통해 반란상태에 있는 여러 주의 노예를 전부 해방한다고 밝힌 뒤, 해방된 흑인들에게도 옛 주인들에 대한 폭력을 삼가고 적절한 임금으로 계속 일할 것을 당부하는 내용 이외에도 흑인들의 연방 군대 입대를 허용했다. 이 선언은 내전에서의 전략적 의미도 지녔는데, 그것이 노린 것은 남부의 사기저하와 남부 여러 주의 연방 조기복귀를 노리는 것이었다. 더욱이 흑인을 북군 병력에 흡수할 수 있게 됨으로 북군이 더욱 강해지는 계기가 됐다. 실제로 노예해방 선언 이후 흑인들이 북군에 입대해 남군과 싸웠다는 사실이 이를 입증하고 있다.
링컨이 “자신의 이름이 역사에 남는다면 바로 이 노예해방선언 때문일 것”이라고 했듯이, 후세의 역사도 그의 바람을 따르고 있다. 하지만 링컨의 노예해방 선언은 인도적인 명분에서 출발한 것은 결코 아니었다. 그는 단지 미연방의 대통령으로서 미연방을 수호한다는 현실적인 목표를 위해 전쟁을 결심했고 선언을 발표했을 뿐, 노예해방은 단지 부수적인 산물이었을 뿐이었다. 노예해방의 실현은 북부의 산업 자본가와 남부 대지주 사이의 경제적 이해대립이 전쟁으로 폭발한 뒤에야 형식적으로 이뤄진 셈이다.
이 선언으로 북부인들은 자유와 인권과 같은 미국 독립 전쟁 때와 같은 열정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미국인들의 이상주의적 경향은 청교도적인 명백한 운명 같은 이상주의 성향에 부합하는 것이었고, 제1차 세계 대전 때 우드로 윌슨 대통령에 의해 다시 한 번 보여주게 된다) 또한 이 선언은 유럽 열강이 남부 연맹의 독립을 승인하려던 움직임을 사전에 차단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유관순 열사 17세 나이로 옥중에서 순국
1920년 9월28일 오직 내 나라의 독립만을 위하여 불꽃처럼 살다 간 순국열사 유관순이 서대문형무소에서 옥사했다. 충청남도 천안에서 태어난 유관순은 1915년 선교사의 소개로 이화학당 보통과 2학년에 편입했으며 1918년에는 고등과 교비생으로 입학했다. 1919년 이화학당 재학 중 3·1운동이 일어나자 만세 시위에 참가했다. 총독부 임시휴교령에 따라 학당이 휴교하자 유관순은 고향인 충청남도 천안으로 내려와 조인원 이백하 등과 함께 마을 사람들을 규합하기 시작했고, 4월1일 아오내[竝川] 장터에서 3,000여 군중에게 태극기를 나누어 주며 독립만세시위를 벌였다. 이 사건으로 유관순의 아버지 중권(重權)과 어머니 이씨(李氏)는 일본 헌병에게 피살되고, 집마저 불탔다. 그는 일본 헌병대에 체포되었고 공주 검사국으로 이송되었다. 그곳에서 영명학교(永明學校)의 만세시위를 주도하다가 끌려온 오빠 관옥(寬玉)을 만났다. 공주지방법원에서 징역 3년을 언도받고 항소했으나 경성복심법원에서 기각 당했다. 그는 재판장에게 자신의 투쟁이 정당하다는 것을 끝까지 항변하며 의자를 집어던졌고 그로 인해 법정모욕죄까지 가산되어 징역 7년형을 언도받았다. 일제의 모진 고문으로 몸이 상했으나 복역 중에도 독립만세를 고창했고, 이 때문에 더욱 혹독한 형벌을 당해 건강이 악화되어 17세의 나이로 못다 핀 꽃봉오리 같은 삶을 옥중에서 마감했다.
8·15광복 후 충청남도와 천안군의 협력으로 병천면에 유관순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 건립되었고,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그리고 1996년 5월 이화여자고등학교에서 명예졸업장을 추서하였다. 유관순 열사 추모제는 해마다 10월12일에 열렸는데, 2005년부터 매년 9월28일에 열사 순국일 행사가 열리게 되었다. 충남 천안시 사적관리소는 독립기념관 및 독립운동사 연구학자들의 연구 결과, 유 열사 순국일이 9월28일로 밝혀져 추모제 날짜를 바로 잡았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앞서 독립기념관은 조선총독부 관보를 통해 ‘유관순 열사가 석방 이틀을 앞둔 1920년 9월28일 고문으로 얻은 병이 악화돼 서대문형무소 감방 안에서 순국’한 사실을 확인했다.
조상의 얼 ‘팔만대장경’ 세계 속에 피어나다
1251년 9월25일은 팔만대장경이라고도 불리는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조성이 완료된 날이다. 대장경은 경(經)·율(律)·논(論)의 삼장(三藏)을 말하며, 불교경전의 총서를 가리킨다. 이 대장경은 고려 고종 24∼35년(1237∼1248)에 걸쳐 간행되었다. 이것은 고려시대에 간행되었다고 해서 고려대장경이라고도 한다. 판수가 8만여 개에 달하고 8만 4천 번뇌에 해당하는 8만 4,000법문을 실었다고 하여 팔만대장경이라고도 부른다.
이 경판은 고려가 원나라의 침략에 맞서 종교적인 염원으로 국란을 극복하고자 만든 불교 목판경으로 경판의 개당 총 길이는 68 혹은 78㎝이며 폭은 약 24㎝, 두께는 2.7~3.3㎝의 범위이며, 무게는 경판의 재질에 따라 4.4kg까지 나가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3∼3.5㎏ 정도이다. 경판의 재질은 자작나무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 산벚나무와 돌배나무가 대부분이다.
고려 현종 때에 초조(初雕) 대장경이 만들어졌으나 몽골의 침공으로 불타 없어졌다. 선종 때에 대각국사 의천이 속장경을 간행하였으나 이 또한 몽골의 침공으로 불타 없어졌다. 1236년 몽골의 침공을 부처님의 힘으로 물리치기 위하여 팔만대장경이 강화에서 조판되었다. 일본은 고려 말에서 조선 중종 때까지 80여 회에 걸쳐 대장경판을 요청한 바 있으며 그 결과 경판 대신 종이에 인쇄된 60여 본이 일본 측에 기증, 고려대장경은 일본 대장경의 모체가 되었다.
현재 보존되어 있는 팔만대장경은 8만 1,258장으로 여기에는 조선시대에 다시 새긴 것도 포함되어 있다. 이 대장경의 특징은 사업을 주관하던 개태사승통인 수기대사가 북송관판, 거란본, 초조대장경을 참고하여 내용의 오류를 바로잡아 대장경을 제작하였다고 한다. 이 대장경은 현재 없어진 송나라 북송관판이나 거란의 대장경의 내용을 알 수 있는 유일하다. 팔만대장경은 세계의 대장경 중에서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해인사 장경판전은 1995년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팔만대장경은 강화도에 보관되었던 것을 조선 태조 7년(1398년) 서울 지천사를 거쳐 해인사로 옮겨와 오늘에 이르고 있다. 팔만대장경은 글씨가 아름답고 오탈자가 전혀 없어 현존하는 3,000여 종의 한역 장경 가운데 가장 완벽하다는 평가를 받아 2007년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됐다.
1796년 최초의 한국 신도시 화성 완공
1796년 9월10일 조선 정조(제22대, 재위 1776~1800) 때에 현재의 경기도 수원시에 쌓은 새로운 성 화성(華城)이 완공되었다. 성은 정조 18년(1794)부터 20년(1796) 사이에 좌의정 채제공의 주관하에 축성하였는데, 근대적 성곽 구조를 갖추고 거중기 따위 기계 장치를 활용하는 등 우리나라 성곽 건축 기술사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996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화성은 우리나라 성곽의 백미로 꼽히는 건축물이다. 당대의 모든 과학 기술과 역량이 동원된 이 성은 다산 정약용이 거중기(擧重機)를 이용해 축성의 모든 과정을 계획하고 감독했다. 성의 총길이는 4,600보(5,743m)로 서양식 축성법을 채용했고, 재료도 대형벽돌을 사용했다.
정조가 화성을 건설한 이유에 대해 벽파세력의 압박을 피해 화성으로 천도하려 했다는 ‘화성 천도설’이 있긴 하지만, 당쟁에 휘말려 비운에 간 아버지 세도세자를 추모하고 국왕으로 추존하려는 자신의 비원을 실현할 목적으로 건설했다는 설이 지배적이다. 정조는 화성 건설과 함께 지금의 서울시립대 뒷산인 배봉산에 있던 사도세자의 무덤을 현재의 화성군 태안읍 안녕리로 옮겼고, 통일신라 때 창건된 갈양사를 용주사로 이름을 바꿔 사도세자의 능사(陵寺)로 삼아 아버지의 넋을 위로했다. 정조는 신도시의 번영을 위해 한성부내의 재력 있는 시전도매, 기타 부호들과 개성, 평양, 의주, 동래의 거상들로부터 이주 신청을 받았는가 하면, 장사에 능하고 근면 성실한 자 20인을 골라 계를 짜게 하고 이 계원들에게 관모와 가삼의 국내매매와 대중국 무역을 독점하게 했다. 정조의 강력한 의지는 인가(人家)라야 불과 5~6호에 지나지 않았던 삭막했던 들판을 1900년에는 약 2,000호의 큰 읍으로 발전시켰고, 이 신도시는 2004년 현재 인구 100만여 명인 대도시로 성장했다. 다른 한편 ‘발상의 전환’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근본적으로 나라를 개혁하고자 했던 정조대왕이 자신의 거창한 꿈을 실현하고자 했던 하나의 역사적 시발 사건으로 볼 수도 있다고 여겨진다.
미네소타 축제에서의 시어도어 루스벨트 연설
1902년 9월2일 미네소타 축제에 참석한 당시 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Theodore Roosevelt, Jr./1858~1919)는 ‘멀리 가려면 부드러운 언어와 큰 몽둥이를 지니라’는 서아프리카의 속담을 인용하여 미국의 전통적인 고립주의를 비판하고 적극적인 외교에 나서야 한다는 뜻으로 연설을 했다. 이 말은 연설 당시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었으나 축제 후 12일 만에 윌리엄 매킨지 대통령이 암살되어 대통령직을 승계함(제26대 대통령)으로써 명실상부한 미국 대외정책의 근간(Big Stick Policy)으로 떠올랐다. 이 정책에 따라 당시 스페인, 영국, 독일의 간섭과 영향권 아래 있던 쿠바와 베네수엘라, 도미니카를 무력으로 미국 세력권에 편입하였으며, 콜럼비아 반란군을 지원하여 파나마 공화국을 독립시키고 파나마 운하를 사실상 먹어버렸다. 여기에다 큰 몽둥이 정책을 과시하고자 하여 최신 전함 16척을 건조하고 백색 페인트로 칠해 소위 ‘백색 대함대’를 내세워 세계일주 항해를 하게 하여 힘에 의한 패권주의 국가임을 보여 주었다.
루스벨트는 ‘부드러운 언행’ 없이 큰 몽둥이를 휘둘렀지만 미국 국민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았으며, 무연탄노조의 대파업을 몽둥이(군대)를 동원해 진정시키는 과정에서 광부들의 요구를 수용하고 사용자의 양보를 이끌어내기도 해 ‘트러스트 파괴자’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기업에도 몽둥이를 휘둘렀다. 패권주의 미국 ‘세계의 경찰국가 미국’의 시발점이 되기도 한, ‘큰 몽둥이 정책’은 외국과 기득권층을 주로 겨냥했던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