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칼럼] 백내장 수술 타이밍 놓치면 치료가 어려워진다
[시사매거진] 백내장은 대표적인 노인성 안질환으로 꼽힌다. 안구 내 후방에 위치한 수정체에 혼탁이 생겨 나타나는 질환으로 시야가 뿌옇게 변하는 임상적 양상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또 유난히 눈이 부시거나 사물이 흐리고 겹쳐 보이기도 한다.
수정체는 본래 맑고 투명한 조직이지만 퇴행성 변화를 겪으며 점차 혼탁해진다. 혼탁해져 얼룩진 수정체는 빛을 제대로 통과시키지 못하여 정상적인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데 이는 백내장의 주요 발병 기전이라고 할 수 있다. 노인성 외에 드물게 외상, 아토피성 피부염, 당뇨병, 영양실조, 가족력, 약물 복용 등으로 백내장이 발병하기도 한다.
문제는 이러한 백내장을 제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상태가 더욱 악화된다는 점이다. 단순 노화 현상으로 치부해 치료 자체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안약 점안만으로 그치는 경우, 외과적 수술이 두려워 안과에 아예 내원하지 않는 경우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백내장은 진단 즉시 수술을 해야 하는 질환은 아니다. 증상이 경미하거나 환자 개인 스케쥴이 바쁜 상태라면 백내장 수술 계획을 잠시 뒤로 미뤄도 된다. 하지만 백내장은 퇴행성 질환인 만큼 엄연히 병증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염두해야 한다. 보통 초기, 미숙, 성숙, 과숙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안과 전문의 정밀 검사 결과를 토대로 미숙 단계 그 이상을 넘어가지 않도록 치료 타이밍을 확보하는 것이 지혜로운 방법이다.
성숙·과숙백내장 상태라면 안구 내 수정체 혼탁이 심해지고 나아가 조직 부피가 커지며 딱딱해진다. 이때 혼탁해진 수정체 조직을 초음파로 분쇄한 다음 흡수하는 과정인 초음파 유화술 적용이 다소 어려워질수 있다. 혼탁해진 수정체가 경화되면 쉽게 흡입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게다가 방치된 수정체로 인해 안구 내 염증이 발병해 포도막염 등을 부추길 수 있다. 또 수정체가 부풀며 안압 상승에 따른 시신경 손상, 녹내장 등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백내장이 성숙단계로 들어서기 전에 치료 타이밍을 올바르게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백내장 뿐 아니라 노안까지 함께 겪고 있다면 정밀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술을 시행한다. 원거리, 중간거리 뿐 아니라 근거리 시력까지 회복을 도모할 수 있어 추후 돋보기 안경 착용 등의 번거로움에서 해방될 수 있다.
<글 : 강남연세빛안과의원 이승재 대표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