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정보회사 가연 ‘선호하는 배우자 직업과 이유’ 조사

2021-07-12     임연지 기자

[시사매거진] 최근 모임을 통한 ‘자만추’(자연스러운 만남 추구) 대신 원하는 조건의 배우자를 만나기 위한 ‘인만추’(인위적인 만남 추구)가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그렇다면 미혼남녀들이 미래 배우자를 대상으로 꼽은 ‘선호하는 직업’과 ‘바라는 점’은 무엇일까.

결혼정보회사 가연은 지난 6월 8일부터 21일까지 “가장 선호하는 배우자의 직업”과 관련된 설문을 진행, 미혼남녀 318명(남 153, 여 165)의 생각을 알아봤다.

먼저 ‘선호하는 배우자의 직업’ 항목은 ‘전문직(36.2%)’, ‘공무원·공기업(31.1%)’, ‘대기업(11.9%)’, ‘자영업(6.6%)’, ‘상관없다(14.2%)’로 나타났다. 선택한 이유에는 ‘경제적 안정(51.6%)’, ‘사회적 지위(29.6%)’, ‘같은 직종이라(11.9%)’, ‘여유 시간이 중요해서(6.9%)’ 등을 꼽았다. 그 중 남성은 공무원·공기업(41.2%), 전문직(25.5%), 대기업(9.8%) 순으로, 여성은 전문직(46.1%), 공무원·공기업(21.8%), 대기업(13.9%) 순으로 일부 차이를 보였다.

‘직업 이외에도 중요하게 보는 것’은 ‘성격(35.8%)’, ‘가치관(25.5%)’, ‘외모(17.9%)’, ‘나이(12.3%)’, ‘키(8.5%)’순으로 나타났다. ‘미래 배우자에게 바라는 점’에는 ‘상호존중 관계(39.3%)’, ‘올바른 경제 관념(28.9%)’, ‘가정적인 면모(16%)’, ‘책임감(10.1%)’, ‘긍정적인 마인드(5.7%)’ 순으로 이어졌다.

결국 남녀가 오래 만나고 결혼까지 이어지기 위해서는, 상대의 외모·키 같은 외부적 요인보다 가치관이나 성격·성향 같은 내부적 요인이 중요시된다는 것을 말한다. 최근 젠더 갈등이나 지역 갈등이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서로를 존중하고 인정할 필요성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결혼정보업체 가연 관계자는 “보통 상담을 나눠 보면 결혼을 통한 경제적 안정이란 둘 중 한 명의 소득을 말하기보다, 두 사람이 함께 모으고 돈 관리를 하며 얻는 이점을 얘기한다”라며 “안정적인 생활을 추구하는 경향은 장기화된 코로나19와 경기 침체, 부동산 상승 등의 영향이 선택에 자연스레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라고 전했다.

한편, 가연은 서울 강남에 위치한 본점 외에도 수원, 부산 등 전국 지점을 운영 중이며, 공정거래위원회가 제정한 결혼중매업 표준약관을 준수하고 있다. 결혼정보회사 환불, 피해, 등급표 등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기 위한 상담도 함께하고 있다.

 

임연지 기자 kkh911226@gmail.com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