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군산 상생형 일자리 지정 초읽기···합동지원단 실사

2월 중 지정 예정, 3,500억 원 규모 인센티브 받을 수 있을지 관심···GM사태로 무너진 군산경제 회복할 기회 잡아야

2021-02-09     장운합 기자

[시사매거진/전북] 정부 민관합동지원단은 9일, 군산형 상생 일자리 사업에 대한 현장실사를 실시했다.

정부 상생형 일자리 사업 지정의 마지막 관문이라 할 수 있는 현장실사는 실사단 14명과 기업 관계자, 최재춘 민노지부장, 고진곤 한노의장, 도지사, 군산시장 등 3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새만금 입주, 4개기업 현장실사에 이어 ㈜명신 군산공장을 방문 전시 차량을 둘러보고 4월부터 위탁 생산할 다니고 VAN 등 생산공장 추진계획을 관계자로부터 설명을 들었다.

생산차량 전시·시승은 군산 신규공장에서 생산할 에디슨모터스(주)의 SMART T1(EV 트럭), SMART T0930(EV 버스)과 ㈜대창모터스의 다니고 VAN·다니고3(EV 트럭), 엠피에스코리아의 그린보이(EV 골프 카트), 칸타타(전동 스쿠터) 등이 전시 시승했다.

민관합동지원단의 현장실사는 민간 전문가 그룹의 평가로 정부 상생형 일자리 지정 여부를 판가름하는 결정적인 절차다. 이후 2월말 경 정부 상생형일자리 심의위원회의 심의·의결로 확정하게 된다.

군산형 일자리가 지정될 경우 정부로부터 스마트모빌리티 협업센터 구축, 공용 스케이트보드 개발·활용 등 R&D, 자금지원, 공동근로복지기금 지원 등 3,500억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구체적인 지원규모는 지정 시 확정하게 된다.

상생형 일자리 사업은 문재인 정부가 100대 국정과제의  전북은 ‘18년 GM 군산공장 폐쇄 이후 대체 사업으로 ’19년부터 전북 군산형 일자리를 추진해 올 4월 본격적인 생산과 500여 명의 신규인력을 채용할 계획이다.

송하진 도지사는 “전북 군산형 일자리를 통해 전북을 국내 최대의 전기차 생산기지로 성장시켜 대한민국의 미래차 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강임준 군산시장은 “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자동차산업 분야의 축적된 경험과 인프라를 십분 활용해 경제성장과 지역상생을 이룰 수 있도록  전북 군산형일자리로 확실한 변화를 보여드리겠다”고 했다.

  한편 상생형 일자리 사업은 문재인 정부가 100대 국정과제의 하나로 전북 군산 상생형 일자리 사업은 지난해 구조조정의 아픔을 겪은 군산과 경북 구미가 유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민주당 대표가 전남이고 총리가 전북출신이며 차기 대권주자인 점을 감안하고 광주 상생형 일자리가 이미 결정된 점을 감안할 할 때 지정되지 않을 이유가 없다.

다만 남원 서남대에 설치가 확정적이던 공공의료대학설립이 정치적 이유로 진전이 없는 점을 볼 때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전라북도와 군산시 그리고 정치권은 명운을 걸고 군산 상생형 일자리가 반듯이 지정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장운합 기자 dacom21@naver.com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