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검사의 이해

2020-11-11     임지훈 기자

[시사매거진]지능이란 한 개인이 문제에 대해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해결하는 인지적인 능력과 학습능력을 포함하는 총체적인 능력을 말한다. 그럼 이 지능을 어떻게 검사할수 있을까?

카텔은 요인분석 기법을 통해 지능의 구성요인으로 유동적 지능과 결정적 지능으로 추출하였다. 카텔은 전통적인 지능검사는 학교 학습의 결과를 측정할뿐 그밖의 여러 가지 중요한 능력은 거의 측정하지 못하고 측정 결과가 문화의 영향을 받을뿐만 아니라 특정한 문화에 치중되어 있어 지능을 올바르게 측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지능을 유동적 지능과 결정적 지능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

유동적인 지능은 개인이 어떤 문제를 해결 사태에 응용될수 있는지 일반적인 정신능력을 말하고 ,결정적인 지능은 교육, 경험, 환경, 문화를 통해 습득되는 능력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결정적 지능은 넓은 지식, 세련된 교양, 경험, 문화로부터 전수된 지능으로 볼수 있으며 연령, 교육수준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다.

여러 지능검사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진행하는 검사는 웩슬러 지능검사이다. 여러 가지의 영역을 세분화 해서 검사를 진행함으로써 아이들의 언어지표력과 지각추론 지표, 작업기억의 지표와 처리속도의 지표를 통해 전체 지능지수를 알수 있다.

글:  한국유아영재교육학회 지능검사자 이남희

임지훈 기자 cjs1210@hanmail.net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