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혜교 김희선 사진집' 낸 케이티 김, '그림같은 제주 사진' 전
뉴욕→서울~제주 오가며 작업 바다 풍경 '제주×추자도 크리스털'展 서울 청담동 '아이프' 전시장 10일 개막 KT 김 사진 오마주한 화가 김남표 유화도 공개
[시사매거진/제주]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편집장으로 잘 알려진 안나 윈투어도 인정한 패션 사진작가 케이티 김(KT KIM)의 신작 사진전이 서울 강남구 청담동 아이프 라운지에서 오는 11월 14일까지 열린다.
인기 연예인 '송혜교 사진집', '김희선 사진집'을 출간했고, 김재중-조세호등 연예인들의 사진 멘토로도 활약한바 있다.
미국 뉴욕에 거주하며 활동하는 그는 올해 초 서울에 입국해 제주도를 오가며 사진 작업을 해왔다.
서울 청담동 아이프(대표 김윤섭)의 기획전 초대로 케이티 김 사진전 '어쩐지 크리스털 Somehow Crystal'이 10일 개막한다고 밝혔다.
제주도 애월 바다와 추자도를 감각적으로 담아낸 작품 10여점을 전시한다. 제주도 애월 앞바다와 추자도의 파도, 자갈 풍경을 담은 사진은 마치 패션화보처럼 감각적인 분위기를 전한다.
"일상을 스치는 평범한 모든 소재는 '크리스털'처럼 빛난다'는 의미로 포착해온 사진들은 세밀한 균형 감각이 돋보인다.
작품들은 순간적인 순발력으로 얻어낸 스냅사진들이지만 세밀한 균형 감각이 돋보인다.작품마다 분할된 공간의 구성미도 눈길을 끈다.
또한 작품들은 극사실주의 회화로 착각할 정도로 회화적이다.섬의 풍경을 찍은 사진이지만 질감, 빛, 색, 형태 등으로 인해 그림으로 그렸을 거라고 생각될 정도다.
100호 크기에 넣은 사진은 웅장하고 시원하다. 특히 해질 무렵에 찍었다는 푸른 사진은 몽돌 하나 하나의 존재감이 강렬하다. 짧은 순간에 치고 빠지는 패션사진계의 순발력이 몸에 베인 케이티 김만의 재능이다. 모든 사진은 트리밍하지 않은 화면이라고 한다.
사진인데 그림같은 맛을 전한다. 화면 전반에 퍼진 부드러운 터치감과 견고한 질감이 어우러져 패션 화보같은 멋스러움이 있다.
미술평론가인 김윤섭 대표는 "케이티 김의 사진은 테크닉보다 스타일이 더 중요함을 증명해준다"며 "마치 섬광 같은 순간들을 소매치기 하듯, 뷰파인더로 고스란히 스캔해낸 그의 사진은 탁월한 색채 감각이 압권"이라고 소개했다.
또한 김윤섭 아이프 아트매니지먼트 대표는 전시서문에서 "'고양이의 감각을 지닌 사진가'라고 불리는 케이티김의 작품들엔 특별한 끌림이 있다"라며 "어떤 상황이나 순간이든 직관적으로 포착하는 능력은 사진가에게 매우 중요하다, 케이티김을 '한국의 브레송'으로 부르는 이유"라고 밝혔다.
이번 전시에는 케이티 김의 작품에 담긴 회화적 매력에 빠진 화가 김남표 작가가 출품작 중 1점을 유화로 오마주한 작품도 함게 전시된다. 김남표 작가는 케이팀 김의 감각적이고 회화적인 작품에 매료되어 그의 사진을 보고 유화로 그려냈다.
붓이 아닌 면봉과 손가락을 이용해 나온 작품은 '마술같은 그림'이다. 화면을 20개 조각으로 퍼즐처럼 분할해 담아낸 '바다 풍경'은 마치 사진처럼 보이기도 한다.
개막식은 10일 오후 3시에 열리며, 전시 기간인 오는 17일 오후 3시에는 케이티 김의 특별 강연이 열린다. '앙리 카리티에 브레송 & 마이클 케냐'를 주제로 진행된다.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와 함께 관람 인원을 제한한다. 2명~10명이 전시 관람을 신청(02-518-8026)하면 ‘작가와의 만남’을 가질 수 있다. 전시는 11월14일까지.
▲사진작가 케이티 김 (KT KIM) 김경태는 누구인가
패션뿐만 아니라 다큐멘터리 사진작가로 국내는 물론 해외 각지를 무대 삼아 종횡무진 활약하고 있다. 독창적인 관점의 앵글을 통해 패션사진계에선 독보적인 인지도와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적인 브랜드의 국내 패션전문지 표지는 물론 특별 섹션을 장식했다.
그의 사진 ‘지붕 위로 나는 고양이’가 41번째 '비제네르(Visionaire)'지에 실려 큰 화제가 됐었다. 한정판으로 발매되는 이 책은 1년에 네 차례 출간되는 ‘패션ㆍ아트 앨범’으로 각 권에 손으로 고유 번호가 쓰여 진다. 1991년 봄 호를 시작으로 세계의 유명한 혹은 촉망받는 아티스트, 패션 디자이너, 아트 디렉터, 이미지 메이커들의 작품을 꾸준히 소개되는 창구이기도 하다. 뉴욕에 이주해 활동 중인 작가는 UN과 제휴된 ‘F4D’(Fas hion 4 Development) 재단의 아트디렉터로도 활동 중이다.
오형석 기자 yonsei6862@gmail.com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