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7.~9. 전북도, 집중호우 피해 및 조치상황('20.8.10.07:00 기준)
8. 7.~9. 집중호우 피해 및 조치상황
(2020. 8. 10. 07:00 기준)
□ 피해상황 총괄 : 1,080건
인명피해 |
사망 2명/ 이재민 1,702명(전주 14, 남원 794, 진안 421, 장수 217, 임실 149, 순창 107) |
||||
공 공 시 설 |
소 계 |
311건 |
사 유 시 설 |
소 계 |
769건 |
도 로 |
57건 (사면유실24, 파손19, 침수14) |
주택 파손 |
16건 |
||
교 량 |
2건 |
||||
주택 침수 |
656건 |
||||
산사태 |
99건(15.14ha) |
||||
축사 침수 |
76건 (14.4ha) |
||||
상·하수도 |
15건 |
||||
하 천 |
19건 |
||||
수산 침수 |
6건 |
||||
저수지 |
20건 |
||||
문화재 |
7건 |
||||
석축 유실 |
1건 |
||||
철 도 |
3건 |
||||
농작물 침수 |
14건 (8,787ha) |
||||
기 타 |
89건 (자전거 대여소 외) |
□ 피해시설 세부내역
○ 공공시설(311건)
구분 |
유형 |
건수 |
위치 및 피해내용 |
조치사항 |
비고 |
공공시설 |
도 로 |
24건 (사면유실) |
⦁ 지방도 711호 군산 대야 산월 391-19 도로 등 24개소 사면유실 |
⦁ 응급조치 완료 18개소 ⦁ 응급조치 중 6개소 |
|
19건 (파손) |
⦁(지방도 730호)남원 금지면 상귀 532-2 등 4개소, 도로 파손 L=22m, 유실 V=30㎥ |
⦁ 응급조치 중 ⦁ 우회도로 통행중 ⦁ 골재채움 및 차량통행 조치 |
|
||
⦁(지방도 745호)남원시 금지면 입암리 1349 도로유실 L=10m |
⦁ 응급조치 중 |
|
|||
⦁(지방도 743호)장수군 장계면 대곡리 산92-14 등 2개소 도로유실 L=25m |
⦁ 응급조치 중 |
|
|||
⦁(지방도 751호)장수군 번암면 노단리 711-4 등 2개소 도로파손 L=40m |
⦁ 응급조치 중 |
|
|||
⦁(국지도 60호)남원 수지면사무소 앞 도로 등 2개소 파손 L=48m |
⦁ 응급조치 완료 1, 조치중 1 (안전띠,라바콘조치) |
|
|||
⦁(국지도 37호)남원시 인월면 유곡리 1166 도로유실 15m |
⦁ 응급조치 중 |
|
|||
⦁(시도)남원시 사매면 계수리 도로유실 |
⦁ 응급조치 중 |
|
|||
⦁(군도 22호)완주군 소양면 신촌리 83-1 도로유실 |
⦁ 응급조치 중(안전띠, pe드럼) -8.9일 응급복구 예정 |
|
|||
⦁(도시계획도로)전주시 태평동 293 포트홀(0.5x0.5x1.0) |
⦁ 복구완료 |
|
|||
⦁(위임국도 13호) 장수 식천리 산177-2 도로유실 |
⦁ 교통통제 및 응급조치 중 |
|
|||
⦁(군도) 무주 무풍면 삼거리 산1-5 등 2개소 도로유실 |
⦁ 응급조치 중 |
|
|||
⦁(농도 301호) 완주 고산 화정동곡길 178 도로유실 L=35m |
⦁ 응급조치 중 |
|
|||
14건 (침수) |
⦁ 도로침수 등 (전주5, 진안4, 익산4, 김제1) |
⦁ 배수 조치 완료 ⦁ 김제 용지 와룡육교 차량 통제중 |
|
||
교 량 |
2건 |
⦁ (군도6호선) 진안 마령 평지리 1053-2번지 강정교 교량 파손 ⦁ (지방도 745호) 남원 대강 사석리 교각 침하(사석교) |
⦁ 교량 출입 통제중 |
|
공공시설 |
산사태 |
99건 |
⦁ 12개 시·군 99개소, 20.2ha - 전주 5개소 1.2ha, 남원 9개소 1.2ha, 김제 3개소 0.6ha, 완주 12개소 1.2ha, 진안 7개소 2.1ha, 무주 18개소 2.1ha, 장수 28개소 8.0ha, 임실 2개소 1.34ha, 순창 12개소 1.8ha, 고창 3개소 0.7ha ※ 임도 3개소 0.85km 파손 |
⦁ 응급복구 완료 ⦁ 남원 산동 대상 산106-4(요동마을) 주민 62명 산동 임시 대피 ⦁ 남원 주천 은송리 1-1(용수암) 행랑채 파손으로 2명 대피 |
|
상·하수도 |
15건 |
⦁ 완주 소양 신촌마을, 무주 안성재(국도19호) ⦁ 금산광역정수장 취수펌프 침수 ⦁ 임실 강진 용수리 상수관로 유실 L=190m ⦁ 정읍 칠보면 원백암마을 분기관로 누수발생 150가구 단수 ⦁ 관로이탈로 남원시 일대 단수발생(108개마을) (56개마을 급수재개, 52개마을 2,935명 단수중) ⦁ 정읍 산내면 황토하수처리장 중계펌프장 침수 |
⦁ 춘수마을 응급복구 완료 ※ 원백암마을은 수위 저하시 응급복구 추진 ⦁ 응급복구 진행중 |
|
|
⦁ 완주 상관 의암리 원의암마을 하수관로 파손 L=70m(d=300mm) ⦁ 완산구 효자동 1가 도로 맨홀 파손 등 7건 |
⦁ 하천 수위 조절 후 응급복구 |
|
|||
하 천 |
19건 |
⦁ 유실 12(전주천, 아중천, 남원 대상천, 요천, 수지천, 완주 수원천, 진안 진안천, 장수 금강, 수분천, 장계천, 순창 경천, 부안 동진강) ⦁ 범람 5(익산 익산천, 남원 주촌천, 장수 장계천, 계북천, 부안 동진강) ⦁ 붕괴 2(남원 섬진강, 고창 주진천) |
⦁ 안전시설 등 안전 선조치 후 하천수위 저하시 응급복구 추진 |
|
|
저수지 |
20건 |
⦁ 군산 안정제 등 20개소 피해 발생 - 안정, 광산, 갑산, 지사, 은송, 수동, 성락, 왕, 용궁1, 덕산, 오산, 송강, 봉암, 개정, 치등, 연화, 내동, 신촌, 내촌, 고산 - 월류 6, 유실 11, 누수 등 3 |
⦁ 하류지역 주민 대피 조치 ⦁ 응급조치 추진 중, 일부완료 |
|
|
문화재 |
7건 |
⦁ 남원 산성길 239(선국사 대웅전) 사면 붕괴 ⦁ 익산 김병순고택 창고 담장 파손 ⦁ 임실 이도리(향교 대성전) 담장 파손 ⦁ 진안 백운면의 물레방아 침수 ⦁ 순창 홀어머니산성 주변 토사 유실 ⦁ 남원 산곡동(남원 교룡산성) 성곽 유실 ⦁ 남원 향교동(남원향교 대성전) 담장 붕괴 |
⦁ 응급조치 중 |
|
|
철 도 |
3건 |
⦁ 충남 웅천~간치 구간 선로내 토사 유입 ⦁ 전북 익산~대야 구간 선로내 토사 유입 ⦁ 익산역~여수엑스포역 구간 토사 유입 |
⦁ 응급조치 및 안전점검 중 |
|
|
기 타 |
89건 |
⦁ 전주시 자전거 대여소 2개소 침수 (전주천, 한옥마을 대여소) ⦁ 전주시 농수로 유실 막힘 등 86건 ⦁ 남원시 어현동 178(체육시설) 석축 붕괴 |
⦁ 대여소 전기차단 및 유실방지 고정 |
|
○ 사유시설(769건)
구분 |
유형 |
건수 |
위치 및 피해내용 |
조치사항 |
비고 |
사유시설 |
주택 파손 |
16건 |
⦁ 주택반파 8건(장수1, 완주1, 진안3, 순창3) ⦁ 주택전파 8건(전주1, 남원2, 장수4, 고창1) ※ 장수군 번암면 상교마을 주택 매몰(상교길 136-1) |
⦁ 건물철거 및 소방 구조활동 완료 |
사망 2 |
주택 침수 |
656건 |
⦁ 남원 섬진강, 요천 범람으로 마을 침수 327세대 ⦁ 순창 마을단위 침수(99세대) ⦁ 전주161, 군산4, 익산7, 정읍6, 진안38, 무주5, 장수5, 고창2, 부안2 |
⦁ 임시 대피 완료(경로당 등) |
|
|
축사 침수 |
76건 |
⦁ 정읍 1건(닭 1), 0.3ha ⦁ 남원 34건(소 19, 돼지 3, 닭 8, 기타 4), 6.7ha ⦁ 진안 7건(소 4, 닭 1, 기타 2), 0.7ha ⦁ 임실 2건(기타 2), 0.1ha ⦁ 순창 25건(소 16, 닭 6, 기타 3), 5.2ha ⦁ 고창 7건(닭 2, 기타 5), 1.4ha |
⦁ 피해량, 피해금액, 보험가입여부 등 세부현황 파악 중 |
|
|
수산 |
6건 |
⦁ 고창 아산 뱀장어 치어 폐사(114,250미) ⦁ 남원 양만장(3,947㎡) 침수 ⦁ 진안 성수 어선유실 1척(10마력) ⦁ 순창 양만장 2건, 정읍 양식장 1건 |
⦁ 배수 처리 후 응급조치 추진 |
|
|
석축 유실 |
1건 |
⦁ 장수군 계북면 장무로 965-5 계북교회 석축 H=2.5m, L=20m |
⦁ 응급 조치 완료(사면보호) |
|
|
농작물 침수 |
14건 |
⦁ 14개 시·군 8,787ha(벼 7,395, 밭작물 1,392) - 전주 12 군산 137 익산 350 정읍 616 남원 1,148 김제 3,758 완주 104 진안 269 무주 30 장수 35 임실 151 순창 525 고창 880 부안 772 |
⦁ 배수 처리중 |
|
□ 조치계획
○ 피해시설에 대한 추가 조사 후 응급복구 및 복구계획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