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원내대표 회동..."상임위 위원 정수 규칙 개정 제안 수용"

2020-06-08     박희윤 기자

[시사매거진=박희윤 기자] 박병석 국회의장과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는 8일 오후 국회 의장 집무실에서 여야 원내대표 및 원내수석부대표 회동을 갖고 통합당의 상임위원회 위원 정수에 관한 규칙 개정 특위 구성 제안을 수용하며 막판 원 구성 협상에 돌입했다.

박 의장은 이날 "오늘 통합당의 국회 상임위 위원 정수 규칙 개정 제안을 수용한다"며 "오늘 합의될 때까지는 떠나지 않는다는 자세로 임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통합당은 이날 오전 '상임위 위원 정수에 관한 규칙 개정 특위' 구성 촉구 공문을 국회의장실에 제출했다. 상임위별 상임위원 정수를 정하는 것이 상임위별 배정명단을 제출하는 것에 선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태년 민주당 원내대표 역시 "야당이 의원정수 규칙 개정을 위한 특위 구성을 제안했는데 수용한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오늘 제안이 시간끌기를 위한 제안이 아니길 바란다"면서 "진지하게 더 논의하고 협상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여야가 이날 막판 회동에서 최대 난관인 법제사법위원장 자리를 두고 합의점을 찾을 수 있을지 불확실한 상황이다. 통합당은 오후 2시 의총을 열어 대응방안을 모색한다. 본회의는 오후 4시로 잡힌 상황이다.

김 원내대표는 "예전처럼 원 구성을 지루하게 끌 그럴 여유가 없다"며 "신속한 원 구성과 함께 바로 일하는 국회로 돌입해야 한다는 일관된 입장"이라고 했다.

주 원내대표는 "원 구성 협상이라는 것이 관례도 있고, 양보하고 주고받는 게 있어야 하는데 협상에 그런 것이 전혀 없다"며 "일방적으로 하면 저희들이 막을 방법은 없다. 일방적으로 하려면 법을 지키고 하라"고 비판했다.

여야가 이날 협상에서 상임위원 정수 조정을 위한 특위 설치에 최종 합의할 경우 진통을 겪어 온 원 구성 협상도 일정 기간 숨통을 틔게 될 가능성이 있다. 특위 구성을 우선 진행할 경우 여야 간 원 구성 협상도 좀 더 시간을 갖고 논의를 이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