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 김종인 비대위 결정...김종인의 선택은
[시사매거진=박희윤 기자] 미래통합당 심재철 원내대표 겸 당 대표 권한대행은 22일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김종인 비대위 체제가 다수로 나왔다”면서 "다음주 초 현장상황에 맞게 절차를 진행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심 권한대행은 이어 "김 전 위원장이 제안을 받아들이실 거라고 생각한다. 전화를 해서 직접 말을 들어볼 생각"이라고 전했다.
앞서 통합당은 21일 김종인 비대위 체제를 놓고 의원과 당선인 142명을 대상으로 전화 전수조사를 했다. 단 한 명이라도 의견이 많은 쪽으로 결정짓는 사실상의 ‘선출 선거’였다.
연락이 닿지 않은 2명을 제외한 140명이 응답을 했다고 한다. 당 관계자는 “일부 반대 의견이 있었지만, 김종인 비대위 체제에 대한 지지가 압도적이었다”고 전했다.
전수조사 이전에도 심 권한대행 등 당 지도부 대부분은 김종인 전 총괄상임선대위원장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추대하는 방안에 무게를 뒀다. 다만 조경태 최고위원은 조기 전당대회를 주장해왔다. 하지만 지난 20일 의원총회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자 심 권한대행은 전수조사를 통해 의원과 당선인 전체의 뜻을 물은 것이다.
앞서 김 전 위원장은 이날 오전 라디오에 출연해 "전당대회를 7월, 8월에 하겠다는 전제가 붙으면 나한테 와서 얘기할 필요도 없다"며 전당대회 전까지 당 수습을 위한 관리형 비대위는 맡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김 전 위원장은 "당헌·당규에 너무 집착하다 보면 비대위가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면서 "다음 대선을 어떻게 끌고 갈지 준비가 철저히 되지 않고서는 지금 비대위를 만드는 의미가 없다"고도 강조했다.
심 권한대행은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직을 수락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그럴 것으로 안다”고 했다. 김 전 위원장은 21대 당선인들의 총의와 함께 임기와 권한이 보장된 ‘혁신형’ 비대위일 경우 비대위원장직을 고민해보겠다는 입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