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난 렌터카·전세버스 차량구입 할부금 유예해 달라”

- 제주도, 경제 위기 극복 위해 분야별 개선과제 19건 발굴해 정부에 건의 - 농업용수 광역화 사업 3월 심의·공항 입주업체 임대료 인하 검토 성과

2020-03-08     김연화 기자

[시사매거진/제주=김연화 기자] 제주도는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제도 개선 과제를 발굴하고 19건을 정부에 건의하고, 일부 건의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받았다고 밝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달 26일 관광객 감소로 경영난을 겪고 있는 렌터카 업체와 전세버스 업체가 차량 구입 할부금을 유예 받을 수 있도록 정부에 지원을 요청했다.

코로나 여파로 렌터카 예약취소율이 90%에 이르고, 전세버스 가동률도 5% 이하로 떨어지면서 휴·폐업하는 업체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도는 금융감독원에서 캐피탈업체가 대출할부금을 유예할 수 있도록 지원을 요청했고, 금융감독원은 한국여신전문금융협회를 통해 여신전문금융사에 할부금 납부유예를 요청하는 협조 공문을 발송토록 조치했다.

앞서 제주도는 캐피탈업체 15곳 등에 렌터카·전세버스 업체의 대출 할부금을 6개월 유예해줄 것을 요청한 바 있다.

제주 농업용수 통합 광역화 사업이 빠르면 6월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주도는 일자리 창출과 건설경기 활성화 도모하기 위해 농업용수 통합 광역화 사업 조기 시행 건의했고, 기재부는 이를 수용했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국가재정법」에 따라 총사업비에 대한 심의를 5월 중 진행할 계획이었지만, 제주도의 건의에 따라 3월 중 총사업비 확정 심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대상사업은 500억원 이상이고 국가의 재정지원규모가 300억 원 이상 사업 등이다.

제주도는 기재부에서 총사업비가 확정되는 대로 오는 4월에 사업시행계획 승인 및 조달청 발주를 추진해 6월 중 착공할 계획이다.

도는 농업용수 통합 광역화사업을 통해 관정 58개, 용천수 6곳, 대용량저수조 54개, 관로 470km를 개발하고 용수관리 자동화 시스템도 구축한다. 총사업비 1,375억 원이다.

공항이용객이 줄면서 어려움을 격고 있는 제주공항 내 상업시설 임대료 감면에 대해서도 관계기관 검토가 이뤄진다.

제주도는 코로나 여파로 경영난에 있는 입주업체 임대료를 30~40% 감면해줄 것을 기재부에 건의했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제주도의 건의 사항을 국토교통부에 전달했고, 국토부는 관계기관 협의 등을 통해 검토하겠다고 제주도에 알려왔다.

상업시설 입주업체 현황은 72곳, 3,247명(2019년 기준)이다.

국토부는 지난 2017년 중국 사드 사태로 관광객이 급감했을 때 임대료 30%를 감면한 바 있다.

제주도는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분야별 피해 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행정과 재정적 지원이 필요한 사항을 적극 발굴해 건의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