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피카, 피싱•영상통화 사기의 심각성 예방법 등 공유해

2020-01-08     임지훈 기자

[시사매거진=임지훈 기자] 과거에 행해졌던 디지털 성범죄들은 주로 여성들이 피해자였었다. 주로 통신매체를 매개로 사용하였으며, 피해자의 성적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일으키는 사례들이 많았다. 근래에는 남성들을 대상으로 행해지는 디지털 성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남성을 대상으로 활개를 치고 있는 범죄는 몸캠피씽(영통사기, 영섹사기, 영섹협박, 영통협박)이라는 범죄다. 영상통화 사기 중 하나로 타인의 사진을 도용한 범죄자가 성적인 호기심을 자극해 피해자의 음란행위를 유도하고 영상으로 녹화한다.

녹화의 물밑작업을 진행할 때 대개 악성코드에 감염된 APK파일이나 ZIP파일을 보내는데, 피의자가 보낸 파일을 실행할 경우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이 피의자에게 전송되고 향후 협박에 사용된다.

이후 합의를 미끼로 금품을 요구한다. 영상과 연락처를 빌미로 협박을 가하기 때문에 피해자의 입장에서는 돈을 주는 사례들이 많은데, 피의자들은 지속적으로 금품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금전요구에는 응하지 않아야 한다.

피해자는 매년마다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며, 좀처럼 수그러들 기미가 보이지 않자 과거에 피해를 입었던 피해자들은 네이버 카페 ‘몸캠피씽 피해자모임 카페 (이하 몸피카)'라는 곳을 개설해 활발하게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몸피카 관계자는 “협박범의 메시지를 받는 순간 피해자들은 보낸 apk파일이나 zip파일 등을 삭제하는 경우가 많은데, 피의자가 보낸 파일은 영상의 삭제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니 삭제 하지 않고 전문가를 찾아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한편 몸피카는 (카톡/라인)영상통화녹화, 카톡사기, 카톡피싱, 카톡영상녹화에 당했던 피해자들을 비롯해 보안업계 종사자들이 모여 현재 수천 명에 달하는 규모로 운영되고 있으며 사태의 심각성을 알리며 예방법을 공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