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기술을 바탕으로 인류건강에 이바지한다

전통음식 및 기능성식품 연구개발로 세계진출 모색

2008-10-17     김민관 기자

국민건강증진에 기여하는 전통음식 및
기능성식품 개발에 주력
전통음식 및 기능성 식품 개발에 관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충남대 BK21 영양관리대상별 웰빙식품개발 전문인력양성팀은 현재 건강기능식품소재인 ‘스피루리나와 마늘’을 활용하여 영양관리 대상별 웰빙식품을 개발 중이다.
알카리성식품으로 알려진 건강기능식품인 ‘스피루리나’는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하여 영양적으로도 우수할 뿐 아니라, 카로틴 등 항산화제가 풍부하여 항산화 및 면역력 증진, 동맥경화 및 당뇨병 예방효과 등 다양한 건강기능성이 보고되어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지만, 대부분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섭취하여 섭취대상이 한정 되어 있다. 김미리 단장은 “스피루리나를 이용한 웰빙식품을 개발하여 노인, 어린이 등 영양 취약군은 물론 일반인을 대상으로 다소비 식품으로 활용해 국민건강증진에 도모하고자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사업단에서는 마늘가공제품을 발효기술을 활용하여 제조하여 특허를 출원하고 마늘의 유효성분인 알리신, 알린 등 성분을 분석하고 심혈관계질환, 간질환 등 건강기능성을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고 말했다.
사업단은 이외에도 한국고유의 자생 식용식물 약 100여 종을 대상으로 in vitro에서 산화적스트레스에 의한 뇌의 항산화활성을 탐색하였고, 효과가 우수한 고유식용식물에 대해 용매 분획을 제조하여 전임상 실험을 수행하여 oxidative stress에 의한 뇌신경독성보호효과를 mice의 신경행동학적 변화, 생화학적 지표, 조직병변학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SCI 학술지에 발표하였고, 특히, 지난 5년 여의 연구 끝에 일상식생활에서 흔히 섭취하는 머위로부터 뇌침투력이 높아 뇌조직의 산화적 손상에 의한 뇌세포의 손상 및 파괴를 억제하고 뇌신경독성을 완화시켜주는 뇌보호물질인 lignan계 새로운 항산화 물질을 분리ㆍ동정하여 국내·외 특허를 등록하고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술잡지(SCI)에 논문을 게재하였다. 또한, 동맥경화의 주요 요인인 산화적 스트레스에 방어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고, 그 구조를 규명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를 탐색,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 흔히 섭취하는 채소 중에서 항산화, 항동맥 경화 기능이 우수한 샐러드 채소 조성물을 찾아내어 특허를 등록하고 기술이전을 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브로콜리중의 항발암 효과에 관한 기능성을 평가한 후 브로콜리 함유 음료를 제조하여 특허를 획득하였다.

   
▲ 전통음식 및 기능성 식품 개발에 관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충남대 BK21 영양관리대상별 웰빙식품개발 전문인력양성팀은 현재 건강기능식품소재인 ‘스피루리나와 마늘’을 활용하여 영양관리 대상별 웰빙식품을 개발 중이다.

우수인재개발로 명실상부한 세계적인 사업단으로 도약
김미리 단장은 방문연구시절 CLA의 최초 발견학자이며 권위자인 Univ. Wisconsin의 Pariza박사와 공동으로 동물 model에 따른 CLA의 체지방 축적 저하효과에 관한 동물연구를 수행하여 논문을 게재한 이후, 최근에는 고지혈/항동맥경화 model C57BL/6J Mice에 CLA 함유 기능성 재구성지질을 투여한 in vivo mice에서의 항 동맥경화 및 항산화 효과를 연구하였다. 최근에는 인지질 특히, lysophospholipid의 효소적 산화물의 생리활성 연구를 수행하여 국제 저명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였다.
그 밖에 염농도, 숙성온도, 소금종류에 따른 새우젓 제조 및 품질 특성평가, 고품질 오이지 제조를 위한 절임방법 및 조미액 제조법 개발, 무 및 무 김치 중 매운맛 성분인 황화합물 성분 분석 및 기능성 평가, 무, 순무 등의 항발암 효과 및 김치 등 십자화과 채소의 조리가공에 따른 항발암 해독효소의 유도효과, 순무를 이용한 동치미, 피클 등 가공식품 개발 등의 과제를 통해 전통식품의 품질 개선 및 조리과학적 특성평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같은 연구는 보건복지부, 농림부, 식약청, 한국학술진흥재단, 한국과학재단, 과학기술부 등으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한 결과이다.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사업단은 그동안 국제저명 학술지 SCI에 70여 편의 논문을 게재하였고 국내 학술지에는 130여 편, 국내 특허등록 건수 16건, 미국특허등록 1건, 국내·외 특허 출원 10건, 기술이전 1건, 저서 6권,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우수논문상 2회 수상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상 수상(2006), 동아시아식생활학회학술상 수상(2006), 한국식품조리과학회 학술상(2008)등 학술적으로 뛰어난 업적을 이룩하였다.
BK21 영양관리대상별 웰빙식품개발 전문인력양성팀의 김미리 단장은 “BK 사업을 통해서 학생들의 자질 향상을 위해 연구 뿐 아니라 현장 인턴쉽, 산업체와의 연계, 리더쉽과 조직력 향상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학생들의 자질은 매우 향상되었다. 또, BK 사업은 주로 대학원생 장학금이고, 연구를 위한 예산이 없기 때문에 국고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면 더 많은 연구 성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전했다.
앞으로 BK21 영양관리대상별 웰빙식품개발 전문인력양성팀은 김미리 단장을 주축으로 개개인의 체질에 맞는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을 개발하여 몸 상태에 맞는 식품공급을 통해 건강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사람의 감각기관과의 연계를 통하여 음식의  섭취량, 이용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전을 연구할 계획이다.

충남대 BK21 영양관리대상별 웰빙식품개발 전문인력양성팀 김미리 단장

   
국내식품분야를 대표하는 학자인 김미리 단장은 1975년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에 입학하여 졸업 후 동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은 후 미국 위스칸신 주립대학교(매디슨소재)에서 방문 연구교수를 지낸바 있다. 1985년부터 현재까지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김미리 단장은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장 및 생활과학연구소장 역임, 식품영양학과장, 학생과장, 교학과장,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주임교수 역임, 현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석식품심의위원회위원, 현 한국생명공학원 겸임연구원, 작물과학원 겸임연구관 역임, 전국과학전람회작품심사위원, UNITEF 심사평가위원, 국가고시 출제위원, KFDA R&D 심사 평가위원,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정청식품위해정보교류 실무협의회위원,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연구 심사평가위원회 위원, 동아시아식생활학회 부회장 및 편집위원장 역임, 현 한국조리과학회 부회장, 편집위원장,현 J Medicinal Food(SCI)편집위원, 현 Food Sci Biotechnol(SCIE)편집위원, 현 한국식품과학회 관능검사분과위원회 위원장, 재미한인과학자대회 co-chair,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우수논문상 2회 수상,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상수상(2006), 동아시아식생활학회학술상수상(2006), 한국식품조리과학회 학술상(2008),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에 등재(2009)되면서 관련 학회 및 학문분야의 발전에 활발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