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부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초청 위해 '지구 한 바퀴' 감행
[시사매거진=박희윤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11월 25일부터 26일까지 부산에서 예정된 한·아시아 특별정상회의와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에 대한 각국 정상들의 관심과 호응을 얻기 위해 11월 한 달 간 태국과 칠레를 오가며 5만 여㎞가 넘는 장도에 오를 예정이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28일 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이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다음달 3일부터 5일까지 2박 3일의 일정으로 태국 방콕을 방문한다고 밝혔다.
고 대변인은 "11월 25일부터 27일까지 부산에서 개최되는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및 제1차 한 메콩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아세안 측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력을 다시 한 번 당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번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지난 30년 간 아세안 국가들과 맺어온 관계를 돌아보고, 미래 30년 간 비전을 제시한다는 방침이다.
11월 25일 문 대통령 주재의 공식 환영 만찬을 시작으로 26일 오전 본회의, 오후 정상 업무오찬, 공동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다.
문화·산림·행정·특허·국방 등 5개 분야에서의 각료급 회의를 비롯해 ▲비즈니스 & 스타트업 엑스포, ▲스마트시티 페어, ▲한류 혁신 국제포럼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함께 개최된다.
서울-부산-광주를 거쳐 비무장지대(DMZ)까지 여행하는 '한·아세안 열차', '아세안 팝 뮤직 콘서트' 등 전국에서 20개 이상의 부대 행사도 준비 중에 있다.
이번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특별히 관심을 끈 것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초청 여부 때문이었다.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지난해 싱가포르 한·아세안 정상회의 당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일환으로 김 위원장의 초청을 제안했고, 문 대통령이 수용하며 관심사로 떠올랐다.
그러나 올해 들어 급경색된 남북관계를 고려할 때 김 위원장이 초청을 수용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는 게 외교가 안팎의 시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태국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 및 EAS, 칠레 APEC 정상회의에 참석키로 한 것은 곧바로 이어질 부산에서의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상대국 정상들을 초청하기 위한 '신의(信義)'를 지키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외에도 다자 회의를 계기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한일 정상회담 성사 여부도 꾸준한 관심사다. 문 대통령은 일왕 즉위 의식에 이낙연 국무총리를 파견해 아베 총리에게 관계 개선을 희망한다는 취지의 친서를 전달한 바 있다.
고민정 대변인은 28일 향후 한일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에 대해 "일본의 수출 규제 문제는 결국 안보와 관련해 한국을 신뢰하지 못한다는 기본적 관계에서 (이뤄졌기) 때문에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를 결정한 것이며, 그러한 입장이 변화된 것은 없다"며 일본의 전향적인 조치가 선행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다음 달 3일 태국으로 향한다. 이튿날인 11월 4일 오전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오후 EAS에 참석한 뒤 5일 귀국할 예정이다.
귀국 후 일주일 뒤인 11월13일에는 APEC 정상회의 개최지인 칠레 순방에 나선다. 경유지로 1박2일 간 멕시코 공식 방문 일정을 택한 문 대통령은 13일 로페스 오브라도르 멕시코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는다. 15~17일은 칠레 산티아고를 방문해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서울과 태국 방콕 왕복 거리는 대략 3600㎞에 이르고, 서울 → 멕시코 → 칠레 → 서울로 돌아오는 여정까지 모두 더하면 11월 한 달 간 약 5만 4000 여㎞를 이동하게 된다. 지난해 '지구 한 바퀴 순방'이라 불렸던 체코 → 아르헨티나 → 뉴질랜드 여정을 뛰어넘는 거리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출국과 귀국을 반복하는 타이트 한 일정을 소화하기로 한 것은 각 정상을 우리 행사에 초청해놓고 스스로 다른 회의에 불참하는 것은 도리에 어긋난다는 생각 때문"이라며 "그만큼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정성을 들이고 있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