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정보 공동이용 맞춤형 교육 실시

민원인이 제출해야 하는 서류를 공무원이 직접 확인

2016-04-01     김옥경 차장

[시사매거진]1일 오후 2시 창신대학교에서 도내 전 학교(기관) 민원업무 담당자 1천명을 대상으로 행정정보 공동이용 맞춤형 교육을 실시한다고 경상남도교육청이 밝혔다.

이번에 실시하는 행정정보 공동 이용이란 여러 기관에서 관리하는 전자화된 행정정보를 시스템을 이용해 업무담당자가 직접 확인·열람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업무처리 시스템으로 현재 32개 기관의 149종 사무를 서비스하고 있다.

민원인이 서류 준비를 위해 여러 행정기관을 방문하지 않고 공무원이 직접 시스템으로 확인함으로써 민원인이 제출해야 할 서류도 줄어들고 행정기관 방문 횟수가 대폭 감소하는 민원 편의 중심의 제도다.

학교에서 주로 이용하는 사무는 계약·지출, 공유재산관리, 연말정산, 생활기록부 작성·정정, 신입생전형·전입학업무 등이 있으며 최근 미취학 및 무단결석 학생 소재지 조사를 위해 사용이 확대됐다.

이는 지난달 24일 발표한 ‘미취학(입학) 및 무단결석 등 관리·대응 매뉴얼’이 현장에서 철저히 시행될 수 있도록 뒷받침하고 있다.

이전에는 취학통지서를 받은 학생이 학교에 입학하지 않으면 해당 동사무소에 통보하고 다시 경찰 조사를 의뢰하는 절차를 밟았으나 학교에서 행정정보 공동이용 시스템을 이용하여 직접 확인하게 되면 절차가 간소해져 학생 안전을 위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해진다.

경남교육청 김재기 총무과장은 “민원 편의 향상과 사각지대 학생의 안전 관리 강화를 위해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용을 확대하고 동시에 개인정보 오남용 방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