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공공부문 SW·ICT장비사업 전년대비 5.1% 증가
'2016년 공공부문 SW·ICT장비 수요예보(확정) 설명회' 개최
2016-03-23 김현기 실장
[시사매거진]미래창조과학부와 행정자치부는 지난 21일(월)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2016년 공공부문 SW·ICT장비 수요예보(확정) 설명회'를 개최하고 2016년 공공부문 SW·ICT장비 수요예보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 2016년 공공부문 SW·ICT장비 사업규모는 4조 64억 원으로, 전년대비 5.1%(1,939억 원) 증가했다.
사업당 평균예산이 지난 2015년 2.4억 원에서, 2016년 2.6억 원으로 소폭 증가됐으며, 이는 일부 기관의 대형사업 발주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문별로, SW구축 예산은 2조 7,241억 원(전년대비 45억 원, 0.2%증가), 상용SW 구매는 2,805억 원(전년대비 328억 원, 13.2%증가), HW구매는 1조 18억 원(전년대비 1,566억 원, 18.5%증가)으로 집계됐다.
SW구축사업은 운영 및 유지보수사업이 1조 5,695억 원으로 57.6%, SW개발사업이 7,924억 원으로 29.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용SW 구매사업 예산 2,805억 원 중에서, 사무용SW와 보안SW가 1,524억 원으로 54.3%를 차지했다.
ICT장비 구매예산은 컴퓨팅장비 7,003억 원(69.9%), 네트워크 장비 2,716억 원(27.1%), 방송장비 299억 원(3.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W구축사업을 규모별로 살펴보면, 80억 원 이상 사업이 2015년 36건에서 2016년 43건으로 증가했으며 예산규모는 7,950억 원(29.2%)에서 8,321억 원(30.5%)으로 전년 대비 371억 원(4.7%) 증가했다.
중소기업 사업영역인 40억 원 미만 사업은 2015년 7,050건 1조 5,648억 원(57.6%)에서 2016년 7,606건 1조 5,710억 원(57.7%)으로 전년대비 62억 원(0.4%) 소폭 상승했다.
기관유형별로는 국가기관이 1조 4,962억 원(37.3%), 공공기관이 1조 7,461억 원(43.6%)을 집행할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창조과학부 최우혁 SW산업과장은 “상용SW 구매 예산이 전년대비 10%이상 증가하여 공공SW사업이 시스템통합(SI) 중심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사업기획 단계에서는 SW영향평가 제도, 사업수행 단계에서는 SW분리발주 제도를 활성화하여 상용SW시장을 확대하고 SW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이번에 발표된 조사결과는 '2016년 공공부문 SW·ICT장비 수요예보(확정) 설명회(21일(월), 한국과학기술회관)'와 SW산업정보종합시스템(www.swit.or.kr)을 통해 세부 기관 및 사업별로도 정보 검색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