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캠피씽 대응법 및 주의사항을 알린 ‘몸피카(몸캠피씽카페)’ 몸캠피싱 피해자들이 대처방안을 강구해
[시사매거진=임지훈 기자]미래창조과학부가 발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5년 2월 국내 이동전화 가입자 수는 약 5,717만 명으로 집계됐었다. 이중 약 4,106만 명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국내 경제활동인구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데이터를 탈취하는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주의를 요한다. 몸캠피씽이라는 신종 사이버 범죄로 연령대를 불문하고 많은 피해자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수치심에 신고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실제피해자는 집계된 바에 많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사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몸캠피싱은 남성들을 대상으로 행해지는 경우가 많은데, 여성 사진을 도용한 범죄자가 랜덤 채팅앱이나 SNS, 모바일 메신저 등을 이용해 남성 피해자에게 접근하는 방식이다. 이후에는 음란행위를 하자고 유혹하며 화상채팅을 제의하며 악성코드가 파일의 설치를 유도해 연락처를 해킹한다. 이후 녹화한 영상과 해킹한 연락처를 토대로 피해자에게 영상의 삭제를 위해서는 합의가 필요하다며 입금하라는 협박을 가한다.
이와 관련하여 몸캠피씽 대처방안 카페(이하 몸피카)가 몸캠피싱의 주의사항을 알려왔다. 해당 카페는 수 천명의 회원수를 보유한 곳으로 몸캠피씽의 실제 피해자와 보안업계에 종사 중인 이들이 모인 곳이다.
몸피카 관계자는 “협박범들은 영상의 삭제를 위해서는 금전이 필요하다며 합의를 종용하게 되는데, 절대 응해서는 안된다.”라며 “마치 일회성에 그칠 것처럼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협박범들은 지속적으로 입금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의 피해자가 동영상 유출로 이어지게 된다”고 조언했다.
이어 “일부 몸캠피싱 조직들은 서버 내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및 영상을 백업하는 치밀함까지 보이고 있어 신속하게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라며 “신속한 대응을 위해서는 APK파일 또는 범죄 유형 등을 분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니 범인에게 전달받았던 APK파일이나 대화내용들은 삭제하지 않고 보관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한편, 몸피카는 피해사례들을 공유함과 동시에 조언과 해결방안, 대처 방법 등을 제시하고 있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