숀 버니, "아베 정권은 오염수 태평양 방류 계획 추진"
[시사매거진=박희윤 기자] 탈핵 에너지전환 국회의원모임과 그린피스 서울사무소는 14일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위기' 보고서 저자인 숀 버니 그린피스 독일사무소 수석 원자력 전문가 초청해 '후쿠시마 원전 사고, 오염수 안전한가?'의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숀 버니 수석전문가는 최근 기고문을 통해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 제기를 제기한 바 있다.
버니 수석 전문가는 이 자리에서 지난해 8월 일본 가나자와대학 이노마타 야요이 교수 등이 국제학술지 '해양과학(Ocean Science)'에 게재한 논문을 소개했다.
이 논문에서 이노타마 교수 등은 "후쿠시마 사고 당시 방류된 방사성 물질이 표층수를 통해 남중국해를 거쳐 동해로 들어오는 데 약 1년 정도 걸린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또 일본 열도 남쪽 '아열대 수괴(水塊-수온 등 물리적 특성이 비슷한 물 덩어리)'(Subtropic mode water, STMW)로 들어간 후쿠시마 방사성 물질도 몇 년에 걸쳐 동해로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열대 수괴로 방류된 세슘(Cs)-137은 4200조 베크렐(Bq, 방사능 측정단위)이며, 이 중 5%에 해당하는 200조 Bq이 2016년 이전에 동해로 유입된 것으로 추산됐다.
또, 동해로 들어온 것 가운데 43%인 90조 Bq는 다시 쓰가루 해협을 통해 북태평양으로 빠져나갔고, 30조 Bq는 연해주를 통해 사할린 쪽으로 흘러나갔다는 것이다. 나머지 90조 Bq은 동해에 남은 셈이다.
한편, 버니 수석전문가는 "후쿠시마 제1원전에는 매주 1497㎥의 방사성 오염수가 늘고 있고, 지난 1일 기준으로는 총 104만9767㎥의 오염수가 저장돼 있다"며 "일본 아베 정권은 이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류할 계획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염수 100만㎥을 바다에 흘려보내려면 17년에 걸쳐 물 7억7000만t을 쏟아부어 희석해야 하는데,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해양 오염 없이는 방류"다는 것이다.
버니 수석전문가는 "오염수가 해류를 타고 바다를 순환, 태평양 연안 국가들도 방사성 물질에 노출될 수 있고, 한국은 위험에서 벗어나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 "아베 내각은 비용을 줄일 목적으로 최적합 기술보다 값싼 기술을 고집하다 제염(방사성 물질 제거)에 실패했다"며 "방사성 물질인 3중수소(트리튬)를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은 비싸다고 포기해 오염수를 처리하지 못하더니 이제 바다에 오염수를 버리려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탈핵에너지전환 국회의원 모임의 대표의원인 우원식 의원은 "일본 정부가 오염수 처리에 실패한 사실을 몇 년 동안 숨겨온 상황에서 후쿠시마가 안전하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은 신뢰할 수 없다"며 "일본이 오염수를 방류할 경우 인류에 대한 범죄행위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