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센던스’ 마음 속 깊은 비밀스러운 이야기는...
[시사매거진=주진현 기자] 4일(일) 방송된 종합편성채널 JTBC 예능프로그램 ‘방구석1열’에서 인공지능과 인간의 관계를 그린 영화 ‘트랜센던스’와 ‘her(그녀)’가 띵작매치를 펼친다.
‘미래를 이야기하는 과학자’ 서울시립과학관의 이정모 관장과 ‘과학하고 앉아있네’의 저자이자 팟캐스트 진행자인 원종우 작가가 함께한다.
두 영화는 AI를 기반으로 인간과 인공지능과의 관계에 대해 촛점이 맞춰져 있다.
이와 관련해 실제로 영화 '트랜센던스'처럼 브레인 업로딩이 가능하다면 어떨지 토론도 이어졌다.영화 '트랜센더스'에서 나온 브레인 업로딩은 기존의 인간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그대로 복제 하는 역할이다.
윤종신은 절대 하고 싶지 않다며 "보존에 욕심이 없다"고 전했다.
"마음 속 깊은 비밀스러운 이야기는 나가선 안된다"면서 브레인 업로드에 대해 반대했다.
다른 패널들 또한 마찬가지였다.
이정모 관장은"나와 같은 복제품이 나보다 더 나을수도 있다. 나의 안전을 위해서 원하진 않을거 같다"면서 반대 입장에 한 표 던졌다.인공지능 기술 발전이 과연 우리의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인간과 대등한 스트롱 AI의 발전이 과연 괜찮은 건지에 대한 심도있는 이야기가 눠진 가운데인공지능과의 사랑의 가능성 도한 그려진 바.
윤종신은 '내 뇌를 컴퓨터에 업로드할 수 있다면 할 것이냐'는 물음에 "저는 하지 않을 것이다. 보존에 별로 욕심이 없다"고 얘기했다.
‘트랜센던스’는 인간의 지적능력을 초월하고 신적인 존재가 된 인공지능 컴퓨터를 그린 영화로 월리 피스터 감독의 첫 연출작. 또한 ‘her(그녀)’는 인공지능 운영체제와 사랑에 빠진 한 남자에 대한 이야기로 각종 시상식에서 수상하며 신드롬을 일으킨 영화다.
두번째로 다룬 영화는 'HER'이다.
인공지능 사만다와 사랑을 그린 이 영화는 실제 연인간의 대화를 나누는 듯한 장면이 가장 핵심이었다.
그렇다면 인공지능과의 사랑은 정말로 실현 가능한 일인걸까. 이와 관련해 원종우, 이정모 관장은 "인공지능끼리 말을 시켜보니 "난 로봇이다", "난 로봇이 아니다"등 감정적인 대화를 나눈 사실이있다"면서"인공지능은 감정도 조절할 수 있게 될지도 모르겠다"고 전했다.
민규동은 "인간에게 요구되는 규범이 없는게 AI다. 나에게 100%맞춰주는 존재라는 점이 이끈 점이 아니였을까 했다. 윤종신은 "매일 로봇과 대화를 나누면 어떨까?"라고 질문했고, 장도연은 "기계가 갑자기 응원이 필요해? 도와줄까? 이런식으로 말하면 감정이 확 생길거 같다"고 전했다.이정모 관장 역시"외로운 사람들은 충분히 인공지능과 사랑에 빠질 수 있을것이다"고 평했고, 원종우 작가는 "인간과 똑같을 수 있는지 시험할거 같다"고 했다.
이정모 관장은 "사랑하는 마음이 아닌거야"라고 답해 폭소케했다.
장도연은 "기계니까 더 편하게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을거 같다"고 솔직하게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