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 최저임금위 복귀…"삭감안 규탄 서명 제출키로"

11차 전원회의 복귀 결정... 2020년 최저임금 결정 중대성 고려

2019-07-10     이미선 기자

[시사매거진=이미선 기자] 내년도 최저임금 심의 보이콧을 선언했던 노동자 위원들이 10일 최저임금위원회 전원회의에 복귀한다. 

10일 노동자 위원 9명은 입장문을 통해 "우리 최저임금위원회 노동자 위원은 2020년 최저임금 결정의 중대성을 고려해 제11차 전원회의 복귀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날 열리는 최저임금위원회 전원회의에선 노동계와 경영계가 각각 내년도 최저임금 수정안을 제출하면서 격론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노동자 위원들은 사용자 위원들이 내년도 최저임금 최초 요구안으로 8000원(4.2% 삭감)을 낸 데 반발해 지난 9일 제10차 전원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다. 

노동자 위원들은 "사용자 위원이 최저임금 삭감안을 제출한 이후 1만1000명의 국민이 사용자 위원을 규탄하는 서명을 해주셨다"며 "이는 사용자 위원에 대한 규탄뿐만이 아니라 노동자 위원에 대한 최저임금위원회 복귀 명령으로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강조했다.

노동자 위원들은 제11차 전원회의에 복귀해 내년도 최저임금 삭감안을 규탄한 1만1000명의 서명 용지를 최저임금위원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노동자 위원들은 전날부터 이날 오전까지 민주노총, 한국노총 등 각 기관·조직별로 복귀 여부를 두고 의견을 취합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용자 측이 최저임금제도를 부정하는 삭감안을 철회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회의에 참여하는 게 의미가 없는 만큼 불참하자는 주장이 나왔으나 삭감안 철회 여부와 관계 없이 전원회의에 참여해 적극 논쟁하자는 주장이 근소하게 앞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노동자 위원들은 전원회의에 복귀해 저임금 노동자의 임금인상과 임금불평등 축소를 위해 최대한 목소리를 내자는 쪽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진다.

또 최저임금위원회 의결 마지노선인 15일까지 심의기간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예년과 같은 파행 사태를 초래해선 안된다는 공감대를 갖고 복귀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동자 위원들이 이날 회의에 복귀하게 되면 박준식 최저임금위원장은 노사로부터 수정안을 제출받아 격차 좁히기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다만 노사 간 입장 차가 큰 만큼 접점을 찾는데 진통이 예상되고 있다. 박 위원장은 11일까지 내년도 최저임금 심의를 마무리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