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 "대통령의 무능과 무책임 상징 조국 민정수석 경질" 촉구
[시사매거진=박희윤 기자]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는 8일 오전 국회 바른미래당 최고위원 회의에서 박영선·김연철 장관후보자 임명을 강행하려는 대통령의 일방통행에 대해 "후보자에 대한 지명철회나 자진사퇴 요구에도 임명을 강행한다면 대통령과 청와대의 불통과 일방통행이 극에 달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대통령의 무능과 무책임을 상징하는 조국 민정수석을 경질하라"고 주장했다.
김 원내대표는 "현행 인사청문회 제도는 후보자가 아무리 부적격하더라도 대통령이 임명을 강행하면 그만"이라며 "장관 후보자가 부적합하다는 국민여론과 국회를 무시하고 (임명을 강행하려 한다). 인사청문회 본래 의미를 현저하게 퇴색시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동안 8번이나 임명강행을 계속하면서도 잘못된 인사검증 시스템을 만 2년이 다 되도록 전혀 고치지 않았다"면서 "촛불정신을 그렇게 강조하던 청와대와 대통령이 제대로 된 개혁의지를 갖고 국가 시스템을 조금이라도 개선하려면 인사청문회 제도 개선에 앞장서야 했다. 하지만 그렇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김 원내대표는 "(청와대에서) 계속된 실패와 무능을 보여준 인사검증 책임자에 대한 지나친 집착을 보이면서 정쟁을 초래하고 있다"면서 "원활한 국정운영에 초점을 둔 것이 아니라 청와대와 여당의 정치적 이익을 우선시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여야 간 정쟁을 유발한 상태에서 해외순방을 가버린다면 야당의 맹렬한 반대·비판 감당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이제라도 대통령의 무능과 무책임으로 상징된 조 수석을 경질해야 한다"면서 "조 수석을 인사 검증업무 등을 담당하는 민정수석에서 제외시키고, 꼭 필요하다면 사법개혁위원장으로 임명하라"면서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했다.
최근 민주노총의 과격한 총파업도 지적했다.
김 원내대표는 "탄력근로제 반대시위를 하다 국회 담장을 부수고 경찰과 기자를 폭행한 것 심히 우려스럽다"면서 "국민들은 이런 과격한 행동으로 역대 정권 중 노동조합과 가장 친화적인 정부라 할 수 있는 문 정부와 민주노총을 외면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민주노총에 대해 "더 이상 사회적 약자가 아니다. 사회 곳곳에 큰 영향력을 갖고 있다"면서 "사회적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거대한 영향력 지닌 단체로 책임감 있게 행동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