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4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주재
[시사매거진=박희윤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4일 오후 청와대에서 이낙연 국무총리를 비롯한 외교안보 라인 수장들이 모두 모인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주재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는 북미 정상 간 최종 합의 불발 이유에 대해 면밀히 진단하고 이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의 성격이다. 먼저 문 대통령은 강경화 외교부 장관, 조명균 통일부 장관, 정경두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각 실무라인에서 파악하고 있는 2차 북미정상회담의 결과에 대해 보고 받는다.
문 대통령은 회담 불발 이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와 3·1 운동 100주년 기념사를 통해 비핵화와 상응조치를 둘러싸고 인식의 간극을 여실히 드러낸 북미 대화에서 중재 역할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다만, 중재역에 나서기 전 현 상황에 대해 정확한 판단과 분석이 선행돼야 한다는 인식이다. 이번 불발은 실무자급 대화가 아닌 정상 간 대화에서 이뤄졌기 때문에 지금까지 북한과 미국을 오가며 숨가쁘게 해온 단순 중재보다 세밀한 상황 분석이 충분히 이뤄져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춘추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현재 단계는 하노이 회담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선행돼야 한다"며 "실제로 (북미 정상 간) 어떤 대화가 오고 갔고 어디에서 매듭이 꼬였는지 등 하노이 회담에 대한 상황을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재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하노이 회담의 재구성 또는 바둑으로 치자면 복기해야 하는 단계"라며 "물론 산발적으로 정보가 들어와 있다. 그런데 정보가 부분적이고 심도있는 내용이라고까지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이 때문에 청와대는 2차 북미정상회담의 결과에 대해 최대한 말을 아끼고 있다. 김 대변인은 "이번 회담 결과에 대해 섣불리 말할 수 없는 입장"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