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평양주재 외교관에 비방매체 반입 통제

검열 수시 진행되자, 주민들 비공개도서 수요 높아져

2015-07-22     편집국

북한이 평양주재 외교관들에게 북한 최고 지도자와 체제를 비방하는 모든 매체의 반입을 금지하는 등 통제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의 소리 방송은 22일 "북한 외무성 조약국이 지난달 26일 평양주재 외교공관과 국제기구들에 북한 최고 지도자와 체제를 비방하는 모든 매체의 반입을 금지한다고 통보했다고 영국 외교부가 밝혔다"고 보도했다.

영국 외교부가 최근 발표한 올해 상반기 북한인권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외교관들을 포함한 모든 외국 국적자들이 북한 최고 지도자의 존엄과 북한체제를 중상비방하는 사진과 영화, 문학작품이 담긴 인쇄물과 휴대전화, 컴퓨터 저장장치인 메모리 스틱 등을 북한으로 반입하는 것을 금지한다'고 통보했다.

영국 외교부는 "북한의 이런 조치는 사상과 언론의 자유 등 국제적인 인권기준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이번 조치는 북한이 계속 인권과 관련해 준수해야 할 국제적 의무를 다하지 않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북한은 정보망 통제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의 북한전문매체 자유아시아방송은 이날 "전 세계가 하나로 광역통신망인 인터넷으로 연결된 것과 달리 북한은 자체 내에서만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인트라넷을 운영하고 있다"며 "이마저도 특정한 사람들만 이용할 수 있고 일반인들은 웬만한 공장 기업소나 연구기관에 접속할 수 없다"고 보도했다.

평안북도의 한 초급 간부 소식통은 자유아시아방송에 "군수공장이 아닌 일반 단위 홈페이지에 접속하려고 클릭하면 '대내에 한함'이라는 경고문이 뜨는데 이는 필요한 인원들만 접속할 수 있게 만든 보안체계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소식통은 "컴퓨터로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사람들은 상류층 간부들과 대학에 다니는 그의 자녀들이며 대학생들이 인민대학습당 학습교재나 적재(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조악한 수준"이라고 전했다.

그럼에도 북한 내부에서는 금지도서 유통 등 내부통제를 피하려는 행위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자유아시아방송은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불법영상물 단속이 강화되자 외부세계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은 점차 '비공개(금지)도서'로 옮겨가고 있으며 그동안 불법영상물에 밀려 별로 인기가 없던 도서(책)를 파는 장사꾼들이 때 아니게 돈을 벌고 있다"고 보도했다.

평안남도의 한 소식통은 자유아시아방송에 "우리나라에서 개인들이 전자인쇄기(프린터)를 몰래 보유하는 행위는 간첩죄에 해당될 만큼 큰 죄가 되지만 돈벌이를 위해서는 위험을 무릅쓰고 전자인쇄기를 몰래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이 꽤나 많다"고 전했다.

평안북도의 한 소식통도 "불법영상물 검열이 수시로 진행되자 주민들 속에서 비공개도서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며 "전자인쇄기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몰래 비공개도서들을 대량으로 찍어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료_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