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외교수장, 10일 미얀마서 3자회담

아세안지역안보포럼서 3국 ‘대북공조’ 재확인

2014-08-11     이지원 기자

   
▲ 윤병세(오른쪽) 외교부 장관이 10일 오전(현지시간) 미얀마 네피도 레이크가든 호텔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존 케리(가운데) 미국 국무부 장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미·일 3국의 외교 수장들이 10일(현지시간)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북핵 등 주요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북일교섭 등의 여파로 이완 조짐을 3각 공조 강화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했다.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참석차 미얀마를 방문 중인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이날 오전 네피도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과 3자 회담을 열었다.

이 자리에서 윤병세 장관은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 등으로 유동성이 높아지고 있는 한반도 정세 등을 언급하며 한미일 3국간 대북 공조전선의 유지·강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윤 장관은 북한이 핵무기를 추구하고 있으며, 단거리 탄도 미사일을 비롯한 모든 종류의 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면서 유엔 무대 등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한미일 3국의 대북 공조가 지금까지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는 한편, 북한 비핵화를 위한 6자회담 재개 노력도 지속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아울러 북한의 비핵화를 연결 고리로 남방 3국간 공조의 끈은 더욱 조이되, 6자회담 재개의 문 또한 열어놓고 그 조건을 숙의하는 등 유연성 있는 대응을 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제기한 것으로 보인다.

3각 동맹의 양대축인 일본이 위안부 등 과거사 부정으로 국제사회에서 코너에 몰리며 '북한에 다가서고 있고, 미국은 최근 이라크 반군 공습 등 북핵문제보다 중동지역에 올인하는 듯한 상황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기시다 외무상은 이에 대해 북일 납북자교섭에 대해서는 투명성을 유지하겠다는 언급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케리 장관은 회의에서 윤 장관이 제기한 한미일 3각 공조 강화의 필요성에 의견을 같이하면서, 과거사 갈등으로 대립하고 있는 한일 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우회적으로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