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미국공인회계사협회/최창호 협회장
2006-10-16 편집국
외국회계법인의 국내사무소 설치 본격화
선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미국공인회계사(CPA)에 대한 수요는 보다 급증할 것으로 보여…
내년(2007년)부터 외국회계법인의 국내 지정 설치가 가능하며, 국내회계법인들의 외국회계사 고용에 대한 각종 규제가 철폐되며, 우리 기업들이 외국회계법인으로부터 직접 회계자문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정부는 중장기적으로 외국회계법인이 단순 제휴형태(현재)가 아니라, 국내회계법인에 직접적인 자본 출자도 가능하게 하는 방안까지 포괄 검토 중이다. -재정경제부 ‘공인회계사법 일부 개정안’에서
미국공인회계사(CPA)가 인정받는 이유?
AICPA는 ‘American Institute of Certified Public Accountants’의 약자로 미국공인회계사협회를 뜻하는 말인데 국내에서는 이 협회의 회원인 미국공인회계사를 편의상 AICPA로 지칭하고 있다.
AICPA는 세계 어디에서든 인정받을 수 있는 회계전문자격증으로 그 활동무대가 미국 내에 국한되어 있지 않고 전세계적으로 확장되어 있다.
미국의 자본력이 전 세계 모든 지역에 침투되어 있기 때문에 이는 어쩌면 너무도 당연한 결과이기도 하다. 현재 대한민국의 금융시장은 이미 시가 총액 200조(전체 시가총액의 50%) 규모가 외국 자본에 의해 투자되어 있다. 이러한 외국 자본 유치는 경영의 투명성 확보를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고 있으며 때를 같이한 회계시장이 도하 개발 아젠다(DDA)를 근거로 2007년 개방을 목전에 두고 있다.
내년 회계시장 개방은 이의 방향타 역할을 할 외국 회계법인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요구하며 대한민국 국적자로서 국제적 수준의 전문성과 윤리를 겸비한 미국 공인회계사에 대한 절대적 수요의 증가를 야기 시키고 있다.
미국공인회계사라면 회계에 대한 지식뿐 아니라, 영어의사능력과 글로벌 경쟁력을 동시에 갖추고 있기 때문에 국내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의 급증과 함께 재무, 회계, 금융 분야에서 미국공인회계사에 대한 수요는 최근 들어 부쩍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외국회계사들에게 인색했던 국내회계법인에서조차 국내회계사와의 고용 및 대우에 대한 차별을 거의 찾아볼 수 없을 뿐 아니라. 내년 회계시장 개방을 앞두고 오히려 국내회계사들이 미국공인회계사(CPA) 자격을 동시에 갖추려하며, 의사소통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영어 공부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대한민국 내에서 미국공인회계사(CPA)의 역할과 활동분야는?
2006년 현재까지 대한민국 내에서 배출된 한국 국적의 미국공인회계사들은 약 3,000여 명이 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들은 일반적인 재무, 회계, 금융 분야에 대한 업무뿐 아니라, 국내의 회계법인, 대기업, 외투법인 등에서 한국기업과 외국기업 혹은 자본 사이에서 야기되는 통상 마찰을 해결하고 외국 자본 및 투자가들을 위한 영문재무제표 공시 및 감사, 국제 조세 부문 등에서 많은 윤활유 역할을 하면서 국내 자본시장의 국제화에 숨은 주역으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가고 있다.
☞감사업무
기업회계감사
내부통제감사
☞국제세무회계서비스
이전가격세제
덤핑규제
국내기업의 해외진출 세무자문
해외기업의 국내투자 세무자문
연결재무제표
국제 상거래 부문의 각종 세무자문
☞경영자문/재무계획
장단기 경영전략 수립
경영목표 및 성과분석
자본계획
M&A 및 기업분석
PFP(Personal Financial Planning)
☞기술지원업무
정보시스템 전략/구축 계획
ERP System 분석
앞으로 협회의 사업방향은?
(사)미국공인회계사협회는 美미국공인회계사협회와 각 주(State)의 CPA Society의 운영체제를 기본 모델로 하고 있다. 본 협회의 기본 설립취지는 국내 회계 표준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 전문인 지속 교육(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CPA간의 정보교환, 인적 네트워크 형성, 취업 및 이직지원, 한국 내 미국공인회계사 권익보호를 기본 골자로 하고 있다.
미국공인회계사 시험 합격자라면 협회의 정회원으로 가입이 가능하며 정회원은 CPA Certificate(자격증)을 위한 각종 절차에 대한 지원 서비스를 받고 CPA에게 필요한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현재 협회에는 준회원까지 약 1,000여 명의 회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회원들의 다양한 요구와 의견을 수렴하여 회원들을 위한 풍부하고 유익한 서비스를 보다 더 확대해 나갈 것으로 밝히고 있어 향후 미국공인회계사의 위상 정립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