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독 정상회담, 독일의 통일경험 공유…DMZ 보존협력

‘북핵 불용’ 원칙 확인, 산업기술 협력도 약속

2014-03-27     이지원 기자

 

   
▲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26일 오후(현지시간) 베를린 연방 총리실에서 독일을 국빈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과 정상회담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독일을 국빈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26일 앙켈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통일문제 및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양 정상이 회담을 가진 것은 지난해 9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G20(주요20개국) 정상회의 이후 두 번째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메르켈 총리와 회담을 갖고 양국 간 교역·투자 확대 및 실질협력 증진 방안과 통일 분야 협력 확대방안, 한반도 정세 및 국제무대에서의 협력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양 정상은 이날 한반도 통일시대를 위해 사회통합·경제통합·국제협력 등 각 분야별로 다면적인 통일협력체계를 구축해 독일의 경험을 공유하기로 했다.
 
독일은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대표적인 분단국가였으면서 1989년 11월 9일 베를린장벽이 붕괴되면서 1년 뒤 통일을 이룬 나라로 양국은 경제통합과 관련해 양국 재무당국 및 경제정책연구기관 간 통일 관련 경제정책 협력 네트워크를 구성키로 하는 한편 양국 외교부 간에 통일외교정책자문위원회를 신설해 경험을 공유하기로 했다.
 
또 비무장지대(DMZ) 보존을 위해 독일의 경험도 공유하기로 했다. 박 대통령은 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DMZ의 보존 및 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과거 동·서독 접경지역 보존 경험을 공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2010년부터 운영해온 한·독 통일자문위원회의 활동도 내실화하기로 했다.
 
박 대통령은 또 독일 비정부기구(NGO)들이 한국의 NGO들과 협력해 북한에 대한 공동지원사업을 해 나갈 것을 제안했다. 박 대통령은 “독일의 통일 및 통합 사례를 면밀히 보고 배운다면 우리 역시 ‘통일대박’을 맞을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핵문제에 대해서는 ‘북핵 불용’ 원칙을 재확인했으며 메르켈 총리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에 대한 지지 의사를 표했다.
 
아울러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도 교감을 나눴다. 박 대통령은 과거사 청산에 대한 독일의 노력에 대해 높이 평가했으며 메르켈 총리는 “용기 있는 행동을 통해 과거사를 청산할 수 있으며 앞을 바라보며 미래를 구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제분야에 대해서도 협의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독일은 한국의 제5대 교역국이며 한국은 중국, 일본에 이은 독일의 아시아 내 제3대 교역국으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양 정상은 지난해 양국 교역액이 272억 달러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한 것을 높이 평가하고 상호 투자기회를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
특히 이른바 ‘히든챔피언’인 강소기업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독일과 중견·중소기업 간 산업기술 협력 및 시장 확대를 위한 교류·협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또 독일이 글로벌 강소기업과 이원화 직업교육, 기초·첨단과학 등 산·학·연 3각 협력체제를 바탕으로 경제대국으로 발돋움한 점과 관련해 협력방안을 협의해나가기로 했다. 박 대통령은 독일을 “한국의 창조경제 협력의 훌륭한 파트너”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양 정상은 독일 경제의 원동력으로서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이원적 직업교육 훈련체제에 대해 직업교육훈련분야 협력 양해각서(MOU)를 통해 협력키로 했다. 과학기술과 관련해서도 첨단기술개발 협력 MOU를 통해 공동연구 및 기술사업화 지원 등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 밖에도 양 정상은 G20, 기후변화, 환경, 에너지정책 등 글로벌 현안에 대해서도 협력키로 했다.
 
양 정상은 이날 정상회담을 마친 뒤 공동기자회견과 만찬을 가졌다. 기자회견에서 박 대통령은 “독일은 이미 통일을 넘어 통합을 달성했다는 점에서 우리에겐 한반도 평화통일의 모델”이라며 “이번 방문은 양국의 협력방향을 설정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됐다”고 강조했다. 메르켈 총리도 “한반도에서 통일을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해드리는 게 의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