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역사이야기] 한국 사회의 부정부패가 낳은 참사 성수대교 붕괴
2018-10-05 신혜영 기자
(시사매거진246호=신혜영 기자) 1994년 10월21일 오전 7시40분쯤 서울 성수동과 압구정동을 잇는 성수대교가 무너졌다. 다리 중간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교각 사이의 상판 48m가 끊어져 한강으로 떨어져 내리면서 다리 위를 지나던 버스 등 차량들도 함께 추락했다.
이 사건으로 출근길 시민과 등교하던 학생 등 49명이 한강으로 추락했고 그 중 32명이 목숨을 잃고 17명이 다쳤다.
성수대교는 한강의 11번째 다리로 1977년 착공돼 2년 만인 1979년 10월16일 완성됐다. 1,160m의 교량 북단과 남단에 인터체인지가 설치됐고 국내 최초로 ‘게르버 트러스(Gerber Truss)’ 공법으로 세워졌다. 성수대교는 기능 위주로 세워진 이전의 한강 다리들과는 달리 미관을 최대한 살리고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건설됐으나 부실공사와 엉성한 관리 때문에 개통된 지 15년 만에 어이없는 참변이 일어났다. 이 붕괴사건으로 건설 분야에 만연되어 있던 부실공사와 부실감리, 안전 검사 미흡이 집중적으로 폭로되었다. 사고 책임을 물어 그 당시 서울 시장이었던 이원종 시장이 사임했다.
성수대교의 무너지지 않은 부분을 보완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는 토목학계의 의견도 있었지만 서울시는 이듬해 4월부터 기존 성수대교를 헐어내고 새 다리를 짓기 시작해 사고발생 2년 8개월 만인 1997년 7월 초 차량통행을 재개시켰다.
성수대교 붕괴사건은 공권력을 이용해 사익을 위해 추구하여 왔던 한국 사회의 부정부패의 모습을 면밀히 보여준 사건으로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