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83% ‘고령화 현상 심각·삶에 영향 미칠 것’
윤종필 “정부 고령화 현상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힘써야”
[시사매거진=이응기 기자] 보건복지부가 자유한국당 윤종필 의원실(보건복지위원회)에 제출한 2017년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은 고령화 현상에 대해 ‘심각하다’는 의견이 82.8%로 나타나 10명중 8명 정도로 국민 대부분이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고령화 현상이 삶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의견 역시 83.1%로 높아 고령화 현상에 대한 심각성 인식 못지않게 현실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몸이 계속 건강하다면 몇 세까지 일할 생각이 있는지 물어본 결과, 평균 72.9세로 높았으며 직장에서의 적당한 은퇴시기에 대해서는 평균 64.1세로 나타나 실제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노후에 중요한 사항에 대해 ‘경제적 안정 및 여유’가 39.3%로 ‘건강’(38.0%)에 비해 1.3%P 높게 나타났다.
노후자금을 준비하는 방식으로는 ‘예금·저축·보험·펀드·주식’이 65.1%로 가장 많았고, ‘국민연금이나 직역연금’이 60.5%로 많아 향후 국민연금개혁과 관련하여 큰 갈등을 불러일으킬 가능성 역시 점쳐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퇴직연금이나 민간은행/보험사의 개인연금’ 33.7%, ‘부동산’ 19.6% 등이 응답되었다.
윤종필 의원은 “우리나라 국민 대부분이 저출산 못지않게 고령화 현상이 심각하고 이로 인해 삶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부정적으로 생각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국민들은 ‘은퇴 후 재취업 가능성’, ‘근로가능연령’ ‘은퇴 시기’에 대해서는 현실보다 크게 긍정적인 기대를 하고 있어 정부가 고령화 현상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 적극적인 자세로 임해야 한다”는 점을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