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제공조 대일 압박, ‘일본 침탈 만행사’ 공동연구 추진

29일 UN 안보리 공개 토론회서, ‘대일 비판’ 여론 강화

2014-01-29     이지원 기자

   
▲ 28일 일본이 독도가 자국영토라는 주장을 중·고교 학습지도요령해설서에 명시하는 방안을 발표한 것과 관련, 김규현 외교부 제1차관이 벳쇼 고로 주한 일본 대사를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로 불러 일본이 독도 영유권 관련 터무니없는 주장을 악의적으로 포함시킨것에 대해 강력한 항의하고 있다.

정부는 일본 정치인들의 과거사 망언·독도 영유권 주장 등으로 촉발된 한·일간 역사 분쟁과 관련해 유엔 등 국제사회와 공조해 대일 압박의 수위를 높이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태평양 전쟁을 도발, 주변국들에 피해를 준 일본침탈 ‘만행사’를 국제사회와 공동 연구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등 일본의 과거사 치부를 적극적으로 들춰내는 방안도 저울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정부가 일본 아베정부의 과거사 망동에 더 이상 수세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국제무대를 통해 적극적인 선무전을 펼쳐나가겠다는 의지를 명확히 한 것으로 풀이돼 추후 일본 측의 대응이 주목된다.

정부는 29일(현지시간) 유엔 안보리에서 열리는 ‘공개토론회’를 국제사회의 대일 비판 여론을 강화하는 대일 공조의 시험무대로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세계대전 발발 100주년을 맞아 개최되는 이번 토론회에 우리 측에서는 오준 주 유엔 대사가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오준 대사는 이 자리에서 ‘일본의 역사 인식 문제’라는 주제의 발표를 통해 최근 영토 문제에서 군위안부 등 역사문제에 이르기까지 이웃국가들과 좌충우돌하는 일본 과거사 왜곡의 뿌리를 비판할 예정이다.

정부는 아울러 태평양 전쟁을 도발, 주변국들에 피해를 준 일본침탈 만행사를 국제사회와 공동 연구, 관련 책자를 발간하는 방안도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간단체들도 일본의 양심적인 시민단체, 중국의 학술단체 등과 연대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법을 모색한다.
 

우선 한·중·일 3국의 민간 부문이 참석하는 동아시아 심포지엄이 오는 2월8~9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릴 예정이다.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주최로 열리는 심포지엄에는 한·중·일 3국의 학자와 시민단체 관계자 등이 모여 2차 대전 당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심층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에서는 상하이 사범대학교 위안부 문제 연구센터에서, 일본은 시민단체 대표 등이 참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가 국제공조에 나선 것은 청와대를 비롯한 현 정부 핵심부의 비판적인 대일 인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최근 미국 측 주요 인사들이 일본 아베 총리의 다보스 포럼 발언 등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는 등 이반의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도 우리 측의 이러한 자신감에 일조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부는 28일 일본이 독도가 자국영토라는 주장을 중·고교 학습지도요령해설서에 명시하는 방안을 발표한 것과 관련, 벳쇼 고로 주한 일본 대사를 초치해 강력한 항의의 뜻을 전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