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헌 의원 “노 전 대통령 NLL 포기 발언 직접 안해”
檢조사, “靑 비서관 시절 대화록 원문 일독”
2013-11-20 김길수 편집국장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유출 의혹을 받고 있는 새누리당 정문헌 의원이 20일 검찰 조사를 받고 귀가했다.
서울중앙지검 공안1부(부장검사 최성남)는 전날 오후 2시께 정 의원을 피고발자 신분으로 소환해 10시간40분 가량 조사했다.
정 의원은 20일 자정을 넘겨 조사를 받고 나오면서 취재진에게 “청와대에 통일비서관 재직 당시 업무관계상 내용을 알아야 하는 부분 때문에 대화록을 일독하게 됐다”며 “대화록 원문을 봤다. 국정원에서 열람한 것은 아니고 2009년 비서관 재직 시 지득하게 됐다. 발췌본이 아닌 전문을 봤다”고 말했다. 이어 ‘대화록이 국정원에 보관돼 있었나’, ‘정당한 열람절차를 거쳤냐’는 질문에 모두 “그렇다”고 짧게 답했다.
대화록 내용을 무단으로 공개한 행위에 대해서는 “일단 국정감사라는 것이 국회에서 발언을 한 부분이니까 제가 이렇다 저렇다 결론을 내릴 수 있는 부분이 아닌 것 같다”며 “다만 영토주권 문제인 만큼 국민들이 당연히 아셔야 할, 하지만 영원히 숨겨질 뻔한 역사적 진실을 밝혔다고 생각한다”며 명분을 내세웠다.
또한 ‘NLL 초기발언을 여전히 노무현 전 대통령이 했다고 믿고 있냐’는 질문에 “제가 포기라는 단어를 노 대통령께서 쓰셨다는 발언은 한 번도 한 적이 없다. 김정일 위원장이 서해평화협력지대의 조건으로 NLL 포기를 수차례에 걸쳐 요구하고 이에 대해서 노 대통령께서 여러차례 화답을 하신다. 그 내용을 말씀드린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이 요구한 의원직 사퇴에 대한 입장에 대해서는 “노 대통령께서 분명히 대화록 안에 보면 NLL을 포기하시는 내용이 담겨있기 때문에 그것을 책임질 사람은 따로 있다고 생각한다”며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다.
정 의원은 지난해 10월8일 통일부 국정감사에서 “2007년 10월 남북정상회담에서 노 전 대통령이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에게 NLL을 주장하지 않았다는 취지로 발언한 비공개 대화록이 존재한다”며 NLL 포기 발언 의혹을 처음 제기했다.
이후 지난해 대선을 나흘 앞둔 12월14일 기자회견을 통해 노 전 대통령의 NLL 관련 발언을 추가로 공개했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 6월과 7월 서상기, 정문헌, 김무성 의원과 남재준 국정원장, 권영세 주중 대사 등을 대통령기록물관리법, 국정원법 위반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검찰은 조만간 새누리당 서상기 의원과 남재준 국정원장에 대해서도 소환일정과 조사방법을 확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