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오늘 귀국 … 정국 정상화 분수령 될 듯
순방 성과 보고 형식 여야 지도부 회동 가능성… 귀국 메시지에 촉각
민주당은 박 대통령과의 국정원 문제 담판을 요구하며 장외투쟁을 이어가고 있고 새누리당은 야당 대화 상대는 여당임을 강조하며 민주당의 국회 복귀를 압박하지만, 대화는 꽉 막힌 상태다. 따라서 출국 전 5자 회담을 언급했던 박 대통령이 새로운 제안을 내놓는 등 정국 정상화 해법을 제시할지 주목된다.
이에 따라 추석 연휴가 시작되는 내주 초까지 향후 5, 6일이 파행정국 타개를 둘러싼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어떤 식으로든 박 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담이 성사될 것이란 예측이 나오지만 낙관은 이르다는 평가도 적지 않다.
우선 박 대통령이 러시아 G20(주요20개국) 정상회의와 베트남 세일즈 외교성과를 설명하는 귀국보고회 자리를 마련, 자연스럽게 여야 지도부와 만나는 식의 해법이 나오지 않겠느냐는 기대가 무르익고 있다. 특히 박 대통령은 해외방문에서 느낀 자신의 생각과 성과를 여야 지도부에 설명하고 국제사회의 흐름도 전달할 필요성이 있다.
여야 모두 추석 밥상을 앞두고 한발씩 양보해 화합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명분론을 의식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민주당이 주장하는 박 대통령과 김한길 대표 간 양자회담이 성사되지 않더라도, 박 대통령이 여야 대표단과 3자 또는 5자 회동에서 귀국보고를 한 뒤 김 대표와 별도의 단독회담을 마련하는 시나리오가 거론된다. 선(先) 양자회담, 후(後) 5자회담의 방식이 될 수도 있다.
가장 걸림돌은 회담 의제. 박 대통령은 민주당이 제기하는 국정원 개혁이란 회담 의제에 대해서도 완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그래서 박 대통령이 귀국 직후 야당과의 회담자리를 마련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적지 않다. 청와대 관계자는 “최근 여야 지도자를 만나 정국 정상화를 위한 여러 이야기를 들었다”며 “이에 관한 대통령의 지침은 아직 없다”고 했다.
그러나 정국 정상화와 관련한 해법이 대통령 자신에게 달렸다는 여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만큼 박 대통령도 귀국 직후 정국의 향방을 가늠해볼 수 있는 메시지를 던질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따라서 정치권은 정국 정상화와 관련 박근혜 대통령이 귀국하는 11일부터 추석연휴가 시작되는 다음주 초까지 5~6일을 최대 분수령으로 보고 있다. 이 기간 극적 타협점을 찾지 못한다면 추석이후에도 해법 마련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파행이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