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김기춘 임명은 섬뜩한 공안정국 조성인사”
“김기춘, 정치검사 상징적 인물. 박근혜 정권의 성격 그대로 드러내”
박근혜 대통령이 새로 임명한 김기춘 청와대 신임 비서실장에 대해 민주당과 트위터 등 SNS의 반발이 뜨겁게 일고 있다.
김기춘 실장은 유신헌법의 초안의 기틀을 잡았으며 유신 때 중앙정보부 대공수사국 부장을 지낸 인물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김 실장은 1992년 14대 대통령선거 당시 이른바 ‘초원복집’ 사건의 핵심 당사자이다.
초원복집 사건은 당시 대통령선거를 3일 앞두고 김기춘 법무장관이 박일용 부산지방경찰청장, 이규삼 국가안전기획부 부산지부장 등과 초원복집에서 대선 대책회의를 열며 김영삼 민자당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해 지역감정을 부추기도록 했던 사건이다.
“우리가 남이가, 이번에 안 되면 영도다리에 빠져죽자” “민간에서 지역감정을 부추겨야 돼” 등의 발언은 당시 이들이 초원복집에서 나눴던 대화들로 유명하다.
이에 김 실장을 임명한 박 대통령에 대해 민주당은 거세게 반발했다. 전병헌 민주당 원내대표는 5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의원총회에서 “실망스럽고 걱정스럽다. 게다가 섬뜩한 공안정국 조성인사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지탄했다.
전 대표는 “유신헌법 초안 작성자로 그와 같은 인식이 여전히 남아있지 않을까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며 “또 89년 노태우 정권 시절에는 공안정국 조성을 통해 당시 김대중 야당총재 탄압에 앞장섰던 분이다. 92년 대선을 앞두고 지역감정 조장과 관권선거를 모의했던 초원복집 사건의 당사자이기도 하다”고 꼬집었다.
같은당 박영선 의원은 5일 자신의 트위터(@Park_Youngsun)를 통해 “오늘 임명된 김기춘 비서실장은 유신헌법 초안 만들고 감수하고 유신이 극에 달한 1974-79년까지 중앙정보부 대공수사국 부장으로서 1992년 12월 초원복집사건 당사자”라며 “정치검사의 상징적 인물로 박근혜 정권의 성격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재화 변호사(@jhohmylaw)도 “유신헌법의 초안 작성한 자를, 중앙정보부 출신을, 지역감정 부추겨 공작정치를 한 김기춘을 이 시기에 비서실장으로 임명한 것을 보면, 박근혜 정부는 국민과 소통할 생각도, 임기를 채울 생각도 없는 모양이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황장수 미래경영연구소 소장(@Hjs3452)은 “김기춘 비서실장은 느슨해진 청와대 및 사정기관과 내각의 끈을 조아서 일자리창출과 부패청산에 매진할 것”이라며 “야당의 공세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여당과의 관계도 심화될 것”이라고 긍정적인 모습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