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거사 중 유일하게 확철대오 한 선지식인
“간절하게 발심하여 최상승선 화두 공부를 하기 위한 기본을 갖추어라”
정일 큰스님으로부터 면밀히 점검받은 후“눈 밝은 사람은 속일 수가 없구나. 부처님도 불법이 이러하고 역대 조사도 이러하고 나 또한 이러하고 자네 또한 이러하기에 전할 수 없는 법을 자네에게 전한다”는 말씀과 함께 인가를 받은 이후 귀향, 경남 김해에서 바라밀선원(www.baramilsunwon.or.kr/네이버에‘바라밀선원’검색)을 열고 부처님의 참된 법을 전하고 있는 능허거사는 국내 거사 중 유일하게 확철대오를 한 선지식인으로 인정받으며, 전국의 많은 불자들에게 깨달음의 꽃을 전하고 있다.
올바른 참선공부로 부처님 법의 이치를 깨닫다
바라밀선원은 우선 광명진언을 하루에 1,000번씩 21일간 진행하고 합동 천도재를 실시한다. 또한 지장경을 10독 한 후 합동천도재를, 다시 지장경을 90독 하고 합동천도재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금강경과 선가귀감 및 원각경보안보살장, 법화경, 다시 선가귀감을 50독하고 합동천도재를 올린 후 화두를 받아 참선공부를 한다. 이 과정을 꾸준하게 진심어린 마음으로 6, 7개월 동안 매진한다면 깨달음을 얻는데 보다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 “공부를 착실히 하고 마치면 마음에 참된 힘을 얻고 부처님 법의 이치를 바르게 깨달아 주변의 인연 있는 중생들을 제도하며, 보살행을 실천하는 불자로 거듭나게 된다. 노력한 만큼 업이 녹고 정화가 되어 들뜨던 망식 기운이 차분히 가라 앉아 마음이 편안해 질것이다. 그럼으로써 최상승(最上乘) 참선법(參禪法)을 닦기 위한 기초가 착실히 닦이게 되는 것이니, 이렇게 공부과정을 마쳐야 간절하게 발심이 되며 최상승선화두 공부를 하기 위한 기본이 갖추어지게 된다”고 전하는 능허거사는 공부과정을 마치고 모든 불자들이 영험을 본 후 감사함을 전할 때 가장 큰 보람을 느낀다고 한다.
“영험이라고 하면 다들 들뜬 마음, 무엇을 잔뜩 구하는 마음을 일으켜 해괴한 관념들을 엮는데, 여기서 말하는 영험
은 업(業)이 소멸되어 마음의 안정을 찾는 것을 뜻한다. 거사님께서 알려주는 방식대로 공부를 마친 후 부처님의 바른 가르침에 의지하여 사물의 이치와 인과(因果)의 도리를 깨달아 삶의 행복과 즐거움을 되찾게 되었다”고 전하는 여러 눈을 뜬 처사, 보살들은 유일하게 확철대오를 한 선지식인인 능허거사의 올바른 가르침으로 생활의 활력을 얻은 부분에 있어 감사함과 존경심을 표하며, 타인에게 조건 없이 베푸는 마음 즉 본래심(本來心)을 찾겠다는 간절한 도심(道心)이 생겨났다고 말한다.
탐·진·치(貪·瞋·癡)버리고 깨달음 얻고자 정진
“부처님 법은 곧 원인과 결과이다, 원인이 좋으면 결과가 좋듯 내가 어떤 생각을 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고 전하는 능허거사는 탐·진·치(貪·瞋·癡)를 버리고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힌 후 생활해 나가야 한다고 말한다. 사람의 욕심은 끝이 없어, 더 많은 것과 높은 것을 지향하다보면 언젠가 마음이 황폐해지는 경우가 발생하나, 본디 마음을 깨달으면 행복을 찾을 수 있게 된다고 주장하는 능허거사는 현재 각박한 경쟁시대에 살아가면서, 물질문명이 발달하면 할수록 정신적인 문화도 함께 발달되어야 하지만 함께 따르지 않는 사례들이 많아 안타까움을 느낀다고 한다.
“현대인들의 본마음은 온 우주의 주인인 것이지, 가죽 주머니 하나 지키는 그런 귀신이 아니다. 다른 외도들은 모두 가죽주머니 지키는 귀신의 껍데기를 벗어나지 못했다. 여러분이 육바라밀을 지키도록 노력하고, 시간 나는 대로 염불에서부터 차례대로 익혀 나가면 나중에는 일구를 통과하게 된다”며 번뇌의 장애에서 현대인들이 벗어나길 기원하는 능허거사는 전국의 불자들의 마음을 헤아리고자‘이제는 반야의 노래를 불러라’는 책을 발간하였고, 이는 국립 중앙도서관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서산대사, 원효대사와 이름을 나란히 하는 영예를 얻었다.
<이제는 반야의 노래를 불러라 中스승이신 정일선사 본문-능허거사 지음>
“이 뭣꼬! 그게 바로 부처님 마음자리”
-전 조계종 종정 혜암 큰스님 영결식 추모사 중
종정스님께서는 일찍이 우리 부처님께서 해주신 제행무상(諸行無常), 제법무아(諸法無我), 열반적정(涅槃寂靜)의 무상법문(無常法門)을 사무치게 우리에게 전해주셨습니다. 이 기회를 놓치지 말고 제행무상도, 제법무아도, 열반적정도 다 사무친다면 그것이 방편으로는 최고입니다. 나아가 이 선문(禪門)에서 제일구(第一句) 법문의 뜻을 오늘 조금이라도 맛보고 가시면 좋겠어요. 이것은 모두 종정스님의 뜻이고, 수좌가풍(首座家風)이며 그것을 제가 대신해서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그러니 회광반조(?光返照)해보십시오. 일체 모든 번뇌가 수없이 발동하는 것을 전부 돌이켜서 “이뭣꼬”로 반조(返照)해보십시오. “이뭣꼬! 그게 일구(一句)라! 그게 바로 부처님 마음자리여!”그게 실상입니다. 이건 깨달아도 이 뭣꼬입니다. 한 뜻으로 통하는 것뿐입니다. 그 한 말씀 겸허하게 혜암 종정스님 앞에 마지막으로 점검 겸, 탁마 겸, 부처님의 뜻을 강조하는 것으로서 추모사를 마칩니다.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면서 바르게 안다는 것이 무엇입니까? 그것은 우리의 아집이 들어가지 않은‘앎’을 말합니다. 우리의 모든 생각과 행동에는 내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앎은 내가 아는 것만이 사실이고, 나머지는 사실이 아닌 것이 됩니다. 그러나 실제로 우리의 삶 속에는 우리가 간과해서 알지 못하는 사실이 무수히 많습니다. 우리는 자신이 아는 지식 이외에 다른 무수한 지식이 있음을 알지만, 실제로 어떤 문제에 맞닥뜨리면 자신의 아집을 버리지 못합니다. 어떻게 아집을 벗어 던져버려 미망의 어리석음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 이 문제는 불교의 근본 문제이며,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곧 해탈의 길입니다. 그리고 이것 때문에 부처님께서는 팔만사천 법문을 설하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