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장학회’ 여야공방 드세지는 후폭풍

불씨 커진 박근혜 역사인식 논란 가열 … 당 내부 논란도

2012-10-23     김득훈 기자

정수장학회를 둘러싼 여야간의 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당내 논란도 가라앉지 않고 있는 양상이다. 새누리당은 정수장학회의 전신인 부일장학회 소유주였던 김지태 씨에 대해선 동양척식주식회사에서 일했던 친일 전력과 세금포탈 의혹 등을 제기했다. 또, 야당의 공세를 흑색선전으로 규정하고 박 후보 측과 정수장학회 관계자 간의 통화기록을 몰래 촬영한 의혹을 받고 있는 민주당 배재정 의원에 대한 징계안을 제출했다.

하지만 비박계 이재오 의원은 “과거사 반성이 원점으로 돌아갔다”, 정치쇄신특위 이상돈 위원은 “실망을 넘어 걱정”이라고 비판하는 등 박 후보 기자회견에 대해 당내 문제제기도 이어졌다. 민주통합당은 ‘거꾸로 된 역사 인식’, ‘책임전가식 낡은 정치’ 같은 강도 높은 단어를 사용하며 맹공을 퍼부었다.

이에 대해 박 후보는 정수장학회 논란을 야권의 정치공세로 일축했다.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입장도 재확인했다. 야권의 공세에 끌려가지 않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박 후보는 “공익재단은 모든 일을 하는 데 있어 감독기관에 승인과 감독을 받지, 마음대로 할 수가 없다”며 “분명하게 감독·승인을 받아 일을 해나가는 재단”이라고 했다. 자신의 소유물이 아니라는 점을 못박은 셈이다.

다만 정수장학회 최필립 이사장의 퇴진을 압박하며 탈출구를 찾는 모습도 보였다. 박 후보는 “정수장학회가 공익재단이기 때문에 이런저런 의혹들에 대해 국민에게 명쾌하고 투명하고 소상히 해명하고 밝힐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 상황이 사퇴를 거부한다고 해서 해결될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또 정수장학회 헌납과정의 강압성을 인정한 법원 판결을 ‘강압이 있었다고 인정하기 어렵다’고 했다가 곧바로 정정한 데 대해선 “법원에서 ‘김지태씨의 의사결정 자유가 완전히 박탈된 정도로 강압성이 인정된 것은 아니다’ 이렇게 말한 것을 설명드린 것인데 좀 표현에 오해가 있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해명했다.

중앙선대위 조직본부 발대식에서 야권을 강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박 후보는 “야당이 계속 네거티브만 하고 아침부터 저녁까지 새누리당 후보에 대한 공격에서 시작해 공격으로 끝난다”며 “그것으로 무슨 국민희망을 주겠다는 것인가”라고 말했다. 특히 “우리는 국민 편에 서서 변화를 이끌고 정책으로 승부한 정당으로 언제나 승리했으며 이번에도 그럴 것”이라며 “정의는 결코 패배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반면, 야권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의 정수장학회 입장 표명에 대해 십자포화를 퍼부으며 공세를 펼쳤다. 책임을 회피하고, 소통에도 무관심해 대선후보로서 자격이 의심된다는 것이다. 최근 야권은 박근혜 후보의 정수장학회 관련 기자회견에 대해 실망을 넘어 강력한 비난을 표출했다. 정수장학회 사회 환원과 최필립 이사장의 사퇴를 요구해온 목소리를 사실상 외면한 기자회견이라는 이유다.

민주통합당 이인영 선대위원장은 “마치 박정희 대통령이 자신의 아버지가 아니라고 얘기하는 것만큼, 박 후보의 발언을 어떤 국민도 믿지 않을 것. 핀치에 몰릴 때마다 ‘유체이탈’을 반복하고 있다”, 이낙연 선대위원장도 “박 후보의 심리학적인 문제는 사고정지에 있다”고 주장했다. 인혁당 사건과 관련해 두 개의 판결이 존재한다는 박 후보 발언을 빗대어 “박 후보 머릿 속에는 역사와 박정희의 법원, 법원도 두 개일지 모른다”고 말했다.

안철수 무소속 후보 측도 아쉬움을 피력하며 비판에 가세했다.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은 “국민은 21세기인데 후보가 70년대라면 우리 국민들이 과연 그런 선택지 앞에서 무엇을 느끼겠는가”라고 언급했다.

과거지향적 태도로 미래를 열 수 없다는 것을 강조했다. 유민영 대변인은 “2012년 대통령 후보인데 인식은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다”며 “그런 인식으로는 새로운 미래, 소통하는 대한민국을 열 수 없다”고 지적했다.